logo
“챗GPT, 연방정부 전면 도입”…오픈AI 명목상 1달러 계약→AI 행정 혁신 신호
IT/바이오

“챗GPT, 연방정부 전면 도입”…오픈AI 명목상 1달러 계약→AI 행정 혁신 신호

박진우 기자
입력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의 행정 전면 도입이 미국 연방정부에서 현실화됐다. 오픈AI는 6월 6일(현지 시간) 미국 조달청(GSA)과 연방정부 전 기관에 챗GPT 엔터프라이즈 모델을 연 1달러에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명목상 비용으로 이뤄진 이 파트너십에 따라, 미 행정부 소속 모든 공무원은 1년간 챗GPT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업계는 AI의 광범위한 실전 투입이 ‘공공행정 AI 혁신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오픈AI가 제공하는 챗GPT 엔터프라이즈 모델에는 고급 음성 모드, 심층 리서치 등 차세대 기능이 60일간 무제한 탑재된다. AI 활용 교육·훈련 서비스도 병행해, 실제 업무 적응을 지원한다. 특히 입력 데이터가 오픈AI 모델의 추가 학습‧개선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 행정 데이터의 보안 보호를 위한 조치도 강조됐다. 행정 절차 자동화, 예산 관리, 국가 안보 위협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 역시 파장이다.

이번 계약 성사는 최근 오픈AI가 정부·공공분야 전용 AI 모델을 출시한 데 이어, 미 국방부와 최대 2억 달러 규모의 계약까지 확보한 직후 진행됐다. 기존 챗GPT API와 달리, 기관별 맞춤형 지원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가 핵심 차이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에선 이미 미국, 유럽, 일본 등 각국 정부가 행정·국방·치안 등 업무 효율 극대화를 위해 AI 솔루션 도입 경쟁에 나서고 있다.

 

다만 지나친 비용 절감에 따른 기술 종속, 데이터 거버넌스(관리·통제) 체계 등 논란도 존재한다. 미국의 AI 행정 도입 방침이 대한민국 등 해외 공공기관 정책에도 연쇄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현지 정부는 AI 활용이 행정 문서·서류 작업 소요 시간을 대폭 절감, 국민을 위한 서비스 개선에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전문가들은 “챗GPT 기반 행정 자동화가 실제 정책, 예산집행 등 국가 시스템 전환의 전주가 될 가능성도 있다”며 “대규모 정부 데이터의 AI 학습 제한, 보안 이슈 관리가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오픈ai#챗gpt#미국연방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