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대장동 미항소 적절 29%·부적절 48%”…여론 분열, 중도층도 비판 우세
검찰의 대장동 개발 비리 1심 판결 미항소 결정이 격론 속에 국민 여론의 분열을 드러냈다.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이 2025년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검찰의 미항소 결정을 ‘적절하다’고 본 응답이 29%에 그친 반면, ‘적절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48%로 집계됐다. 의견을 유보한 응답자는 23%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대장동 사건 1심 판결 직후 검찰이 항소를 진행하지 않은 결정에 대한 국민 인식을 묻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특히 정치 성향별로 의견이 뚜렷하게 나뉘었다. 진보 성향 응답자의 49%가 ‘적절하다’는 견해를 밝혔으나, 보수층은 67%가 ‘부적절하다’며 비판적 반응을 보였다. 중도층에서도 ‘적절’ 의견은 열세였다. 중도층 내에서 ‘부적절’ 응답이 48%로, ‘적절’ 비율을 앞섰다.

연령별로는 대통령과 여당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40대와 50대에서도 논란이 컸다. 해당 연령대 내에서 ‘적절’과 ‘부적절’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 같은 결과가 사건의 복잡성, 그리고 제대로 된 사안 이해 부족 등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갤럽은 “대장동 사건은 매우 복잡하며, 국민 다수가 이 사건의 핵심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가 ‘적절’ 또는 ‘부적절’ 응답의 구체적인 이유까지 파악하지 못한 점, 이로 인해 해석에 한계가 따른다는 점을 강조했다.
여권에선 그간 검찰 판단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경계해 왔으나, 야권은 미흡한 법적 책임 추궁을 문제 삼아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론의 48%가 ‘부적절’하다고 답하면서 향후 대장동을 둘러싼 공방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갤럽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1.5%였다. 정치권은 검찰 수사와 대장동 판결을 둘러싼 민심의 흐름에 주목하며, 향후 후속 조사 결과와 정치적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