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안전, 첫째도 둘째도 중요”…김민석 총리, 오세훈 사업 현장 점검 요청
정책 실행과 안전을 둘러싸고 국무총리실과 서울시가 다시 맞붙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14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한강버스의 현장 점검에 나서면서, 수상 통행의 안전 문제가 정치 이슈로 부상했다. 한강 수상버스 운항 초반 사고와 운항 중단 사태 이후 서울시·중앙정부의 책임성과 안전 보완책을 둘러싼 갈등이 재점화되는 모습이다.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는 서울 광진구 뚝섬 한강공원 내 한강 수상 안전 교육장과 민간 수상레저업체, 한강버스 선착장을 잇따라 찾았다. 현장 확인에 앞서 김민석 총리는 “제가 제일 관심 있는 것은 안전”이라면서 “초반 한 달 (사고로 인해 운항을) 쉬었을 때 문제가 됐던 게 무엇이냐”고 서울시 측에 질의했다.

이에 박진영 서울특별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전기 신호 오류와 운항 숙련 훈련 도중의 접촉사고 등 기술적·운용상 문제를 설명했다. 김민석 총리는 “훈련이 부족해 발생한 운항 상 문제가 크다면, 배 자체의 결함도 원인이었나”라고 꼬집기도 했다. 서울시는 실제로 9월 18일 한강버스 정식 운항 개시 후 결함 발생으로 열흘 만에 운항을 중단했으며, 9월 29일부터 한 달간 무승객 시범 운항을 거쳐 11월 1일에야 다시 운항을 재개했다.
이날 현장에는 지역구 의원인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과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등이 동행했다. 김민석 총리는 “고 의원 등은 국회에서 수상버스 안전 문제를 계속 제기하고 있다”며, “운영은 서울시 소관이지만 안전에 있어서는 행정 각 부처가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특히 김민석 총리는 한강버스 운항 초반 발생한 문제점, 수상 보안관 채용 규모가 목표에 미치지 못한 점 등을 언급하며 “안전 문제를 철저하게 챙겨달라. 제일 중요한 것은 첫째도 둘째도 안전”이라고 거듭 당부했다. 이어 “행정안전부도 서울시와 협조해 상시 점검 체계를 유지해달라”고 주문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한강버스 사고 재발 우려, 안전 인력 부족, 서울시와 중앙정부의 책임 공방이 앞으로도 쟁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무총리실의 현장 점검이 직접적 압박으로 기능하면서 서울시는 운항 정상화와 안전 대책 마련에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부는 한강 수상 교통의 안전 확보를 위해 서울시와 긴밀히 협의하며, 필요시 별도 대책 마련 가능성도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