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진숙 지명 철회·강선우 임명”…이재명, 인사청문 정국 해법 ‘절충 카드’ 꺼내
정치

“이진숙 지명 철회·강선우 임명”…이재명, 인사청문 정국 해법 ‘절충 카드’ 꺼내

강민혁 기자
입력

인사청문 정국을 둘러싸고 여야가 정면 충돌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결국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라는 절충 카드를 선택했다. 반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임명 방침은 고수하면서, 정치권과 시민사회 다양한 지형의 이해관계 속에서 고심 끝 묘수 찾기에 나선 모양새다. 여론 조사 수치와 현장 발언이 잇따르는 가운데 인사 문제를 둘러싼 파장은 정국의 뇌관으로 부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대통령실을 통해 이진숙 후보자 지명 철회를 공식 결정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고민한 결과 대통령께서는 이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며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조치를 진행해주실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강선우 후보자 임명에 대한 질의에는 “그렇다”며 “임명되지 않은 11명의 후보자 중 이 후보자에 대한 지명만 철회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결정은 야권이 이진숙, 강선우 후보자를 주요 타깃으로 낙마 공세를 펴온 데 따른 것이다. 이진숙 후보자는 제자 논문 표절 의혹과 자녀 불법 조기유학 문제로 교육 수장 자격에 비판이 집중됐고, 강선우 후보자는 보좌진에 대한 갑질·거짓 해명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민주당 등 진보 진영 내에서도 비판 기류가 가라앉지 않으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졌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의 면담, 여야 원내대표 회동 등이 이어지며 대통령실 내부 숙고도 거듭됐다.

 

정치권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다. 야당은 “국민 요구를 부분 수용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나,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은 여론 무시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반면 여당은 “교육부 수장 지명 철회는 대통령이 국민 목소리를 수용한 결과”라며 “인사권 존중과 국정 안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장관 후보자 낙마 국면에서 자진사퇴가 아닌 ‘지명 철회’ 방식을 택한 점도 주목된다. 검증 실패 공세를 감수하더라도 대통령이 직접 책임지는 모습을 강조함으로써 이후 남은 인사청문 절차에서 야당과 협치 명분을 쌓고, 권한 행사의 주체임을 분명히 하려는 의도가 읽힌다.

 

동시에 강선우 후보자 임명 강행은 ‘당정 일체’ 기조와 내각 구성 안정이라는 목표를 관철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로 해석된다. 1기 내각에 현역 국회의원이 대거 포진된 상황에서 또다시 후퇴한다면 국정 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 후보자 관련 국민 여론이 향후 임명 이후에도 악화될 경우 이재명 대통령의 선택이 오히려 정치적 부담으로 되돌아올 가능성도 있다.

 

국회는 이진숙 후보자 지명 철회와 강선우 후보자 임명 강행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은 남은 인사 라운드와 관련해 추가 변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다. 정부는 새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선, 여성가족부 장관 임명 여부 최종 결정 등 향후 절차를 신속하게 마무리할 계획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이진숙#강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