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FS 실기동훈련 일부 연기, 한반도 긴장완화 고려”…통일부 ‘훈련 일정 조정’ 평가
통일부와 한미 군 당국이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합훈련 일부 야외기동훈련(FTX) 일정을 연기하면서 한반도 긴장 완화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고조되고 있다. 통일부는 이날 공식 입장을 내고 훈련 조정 배경에는 정부의 평화·안정 추구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UFS 훈련의 FTX 연기가 통일부의 건의에 따른 조정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조정된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전에 말씀드린 대로 긴장 완화와 평화·안정이 목표다. 통일부의 목표이기도 하고 이재명 정부와 대한민국의 목표다”라고 밝혔다. 이어 “한미 훈련도 한반도 긴장 완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미 군 당국은 8월 18일부터 28일까지 정례 한미연합훈련(UFS)을 시행한다고 7일 발표했다. 다만 당초 계획했던 FTX 40여 건 중 20여 건이 내달로 일정이 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8월 UFS 기간에는 FTX가 총 48건 이뤄졌던 것과 대조된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7월 28일 “UFS 조정 문제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다뤄질 것이라 본다”며 “8월 한미 군사합동훈련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에도 적시돼 있지만, 그것이 이재명 정부 대북 정책의 가늠자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 김여정 부부장은 앞서 “이재명 정부가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며 한미 합동훈련을 강력 비판한 바 있다. 김 부부장은 “우리의 남쪽 국경 너머에서는 침략적 성격의 대규모 합동군사연습이 연속적으로 강행돼 초연이 걷힐 날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미 양국 군 당국은 “훈련은 정례적 방어훈련”이라는 입장을 유지하며 긴장 완화 의지를 밝혔다.
정치권은 UFS 훈련과 관련한 한미 및 남북 간 신경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군사당국은 한편으로 동맹 공고화에 방점을 찍는 반면, 통일부와 외교부는 한반도 긴장 완화와 대화 분위기 조성에 방점을 두는 분위기다.
정부는 이번 UFS 훈련 조정 이후 북한 반응과 한반도 정세의 추이를 면밀하게 살필 방침이다. 정치권도 9월 일정에 포함된 추가 훈련과 대북 정책 방향을 두고 첨예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