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 18일 시작”…합참, “야외훈련 폭염에 일부 9월로 연기”
한미연합훈련 시기를 둘러싼 정세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와 한미연합사령부가 8월 18일부터 28일까지 11일간 ‘을지 자유의 방패’(UFS·Ulchi Freedom Shield) 연습을 실시하기로 하면서다. 야외기동훈련(FTX) 일부는 폭염 등 사유로 9월로 연기됐지만, 북한의 추가 반발 가능성도 거론된다.
합동참모본부와 한미연합사령부는 7일 공식 브리핑을 통해 올해 UFS 연습 일정을 밝히며, “한미가 연례적으로 추진하는 방어적 성격의 연합훈련”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전직전 양상을 분석한 현실적 위협 시나리오를 적용했다”며, “연합 및 합동 전 영역 작전 대응능력과 태세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합참과 연합사는 “위기관리와 국민안전 보호를 위한 상황조치 능력, 사이버 위협 대응 등 정부 부처의 전시 대비와 실제 훈련을 지원해, 범정부 총력전 수행능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특별히 올해 창설 75주년을 맞은 유엔군사령부가 회원국 참가를 예고하고, 중립국감독위원회가 정전협정 준수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올해 UFS 연습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반 지휘소연습(CPX)과 야외기동훈련(FTX)으로 나뉜다. 군 당국에 따르면, 연습 기간 중 계획됐던 40여 건의 FTX 가운데 절반 수준인 20여 건이 9월로 옮겨진다. 군은 “폭염과 수해 등 기상 악화가 불가피하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북한이 “북침 전쟁연습”이라며 지속적으로 한미연합훈련에 반발해왔다는 점에서 정치적 고려가 작용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다만, CPX 시나리오와 직접 연동된 훈련이나, 미군 장비 반입이 수반되는 야외기동훈련은 예정보다 차질 없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날 국방부와 합참은 “한미 동맹은 최근 전쟁 양상과 신종 안보 위협에 대응하는 역량을 점검하면서, 한반도 방어태세를 굳건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계속해서 한미 연합훈련의 범위 및 효과를 두고 남북 간 긴장과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9월로 미뤄진 야외기동훈련도 상황 변화에 따라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향후 연합훈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준비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