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권자 잇단 체포, 외교적 해법 절실”…김동석, 정부에 미주 한인 보호 촉구
트럼프 행정부의 초강경 이민 정책이 재가동되면서 미주 한인 사회 내부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김동석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 대표는 7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영주권자 등 한인 동포의 잇단 체포 사례를 우려하며, 한국 정부가 미 당국과의 외교 채널을 통해 적극적인 보호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근 한인 영주권자와 유학생이 미국 현지에서 비자 등 체류 문제로 체포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김동석 대표는 간담회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국경안보’가 강화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의 외교적 접근이 갈수록 제한되고 있다”며, “선의의 한국인 피해가 없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외교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연수 씨가 뉴욕 이민 법정 출석 직후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의해 기습 체포됐다가 4일 만에 석방된 사건과, 박사과정 연구자인 김태흥 씨가 박사 과정 중 귀국 후 미국 입국 때 체포돼 억류된 사례가 대표적이다. 김동석 대표는 이들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 국적 영주권자가 체포될 경우 한국 정부가 관여할 여지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도 입장을 밝혔다. 뉴욕 총영사관 관계자는 “고연수 씨 사건 등 체포된 한국 국적자에 대해 절차에 따라 영사 조력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이처럼 한인 피해에 대한 신속한 영사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을 내세우고 있으나, 현지 한인 사회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외교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지속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정책이 한미 외교 아젠다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동석 대표는 “안보 이슈보다 중요한 것은 한미동맹의 방향성 변화”라며,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미주한인 체포 문제 대응이 양국 관계의 신뢰 기반 차원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내년 11월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마가(MAGA) 조직화 등 트럼프 지지층의 결집 현상과 공화당·민주당 간의 의회 권력 재편 가능성 역시 한미 관계 변수로 거론된다. 김 대표는 “연방 상원에서는 공화당이, 하원은 민주당이 다수당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며, 미주 한인 이슈도 미국 정치권 내 영향력 확대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송원석 KAGC 사무국장은 미주 한인 이산가족 상봉 지원과 관련, 이를 한미 정상회담 의제로 삼아줄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에게 전달하는 안이 일부 미국 민주당 의원들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미주 지역 한인 체포와 미국 내 한인 정책의 현실, 정부의 영사 지원 현황을 점검하면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재외동포 보호 문제에 대한 정치권과 정부 당국의 실질적 대안 마련 필요성을 다시 부각시켰다.
정부는 향후 미주 한인 영주권자와 체류 한인들에 대한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외교적 채널을 강화하는 동시에, 실효성 있는 영사 조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