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영장 집행에 물리력 동원”…김건희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치소 체포 시도
정치적 충돌이 다시 격화되고 있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7일 오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재집행에 나섰다. 윤 전 대통령이 조사에 계속 불응하면서, 특검팀은 물리력 동원 방침까지 내비친 가운데 특검과 전직 대통령 간 정면충돌이 불가피해졌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7시 50분께 서울구치소에 진입했다. 법원이 발부한 체포영장 유효기간이 이날 만료되는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을 직접 구인하겠다는 의지다. 특검 측은 “윤 전 대통령이 2017년 박근혜 국정농단 특검 수사팀장으로서 최순실을 강제구인한 전례가 있다”며 “어떻게 수사했는지 잘 알고 똑같이 적용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은 1일 있었던 첫 체포영장 집행 당시 수의도 입지 않은 채 바닥에 눕는 방식으로 집행을 완강히 거부해 체포 시도가 무산된 바 있다. 특검팀은 이번에 집행 거부 시 물리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법무부도 특검의 입장에 힘을 실었다. 교정본부를 관할하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전날 서울구치소에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고 공정한 법 집행에 적극 협조할 것”을 직접 지시했다. 윤 전 대통령 체포 시도라는 전례 없는 상황에서 법 집행의 정당성을 강조한 셈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른바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공천개입 의혹으로 김건희 특검 수사의 정점에 올랐다. 2022년 대선 당시 명 씨로부터 무상 여론조사를 받고, 그 대가로 그해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공천을 지원했다는 혐의다. 특검은 명 씨가 81차례에 걸쳐 불법 여론조사를 제공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권은 이번 특검과 윤 전 대통령 간의 대치를 두고 즉각적인 반응을 내놨다. 여권 일부에서는 법치주의 수호라는 입장을 내세우는 반면, 야권은 정적에 대한 정치적 보복이라는 비판을 제기했다. 시민사회 역시 첨예하게 갈려 있다. 전문가들은 “대통령까지 겨눈 수사가 초유인 만큼, 향후 정국에 중대한 파장이 미칠 수 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특검과 윤 전 대통령의 추가 충돌 가능성을 주목하며, 체포영장 집행 성공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향후 법적 공방과 더불어 검찰·특검 간 긴장감 또한 고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