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IS 연구자 중심 전환”…과기정통부, 연구행정 혁신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의 연구자 중심 개선에 착수했다. IRIS는 정부 연구개발(R&D) 과제의 행정 지원과 연구정보 통합 관리를 위해 2022년 개통된 플랫폼이다. 현재 35개 연구관리 전문기관이 사용하고 있으며, 24만2000개 연구과제와 등록 연구자 108만명을 관리하는 등 국가 R&D 행정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 업계는 이번 현장 간담회를 ‘연구행정 혁신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7일 과기정통부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IBK홀에서 연구자와 기관 실무자들을 초청해 IRIS 개선을 위한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는 실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불편 사항 및 개선 필요점이 다각도로 논의됐다. 특히 IRIS는 초기 시스템 통합 단계에서의 기술적 장애 해결에 집중하다 보니, 실제 이용자인 연구자 편의성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점이 지적됐다.

IRIS는 각 연구관리기관의 R&D 행정 전반을 통합적으로 다루며, 정부 과제 관리와 연구비 집행, 성과보고 등 다층적 업무를 지원한다. 데이터 자동화‧통합 관리를 기반으로 일관성 있는 행정 처리가 가능해졌으나, UI(사용자 인터페이스)·UX(경험 설계) 등 이용자 친화성에서 한계가 드러난 상황이다. 실제 참석 연구자들은 “서류 제출부터 심사 대응까지 시스템이 복잡하다” “입력 항목이 불필요하게 많다” 등 현장 문제를 제기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NIH(미국 국립보건원), 유럽연합(EU) 등은 R&D행정 지원 플랫폼을 ‘연구 몰입’과 ‘데이터 투명성’ 양축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국내 IRIS 역시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예산 집행 자동화, 맞춤형 알림 기능 등 첨단기술 적용을 예고하며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본연의 연구에 집중하고, 행정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개인정보와 연구데이터 보안, 행정 정보 표준화 등 규제 변수도 남아 있다. 특히 연구행정 디지털화의 속도에 비해 각 기관의 업무 프로세스 변화가 더딜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인규 본부장은 “IRIS를 연구자 입장에서 최대한 쉽게, 인공지능 등 신기술 접목으로 연구 몰입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연구행정의 혁신이 실제 현장에 안착하면, 한국 R&D 생태계 전반의 생산성이 대폭 올라설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산업계는 IRIS의 실질적 변화가 연구자와 기관 모두에 미치는 파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