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디지털트윈에 드론까지”…네이버클라우드, 日 방재 혁신 이끈다
IT/바이오

“디지털트윈에 드론까지”…네이버클라우드, 日 방재 혁신 이끈다

강다은 기자
입력

디지털 트윈과 드론 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방재 시스템이 일본 지방자치단체 현장에 도입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7일 일본 야마가타현 나가이시, NTT 동일본, NTT e-드론 테크놀로지,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디지털 트윈과 드론을 활용해 지역 방재·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이라는 복합적 난관에 직면해 있다. 특히 나가이시는 모가미강이 흐르며 대규모 홍수 및 침수 피해가 빈발하는 지역으로, 정밀 실시간 재해 대응 시스템의 필요성이 꾸준히 부각돼 왔다.  

이번 협력으로 네이버클라우드는 주요 파트너로서 도시 전체를 고정밀 3차원(3D)으로 복제하는 디지털 트윈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실시간으로 수위, 강수량, 강설량 데이터를 집적하고, 드론 촬영 정보를 접목해 방재 상황을 통합 분석하는 고도화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도시와 동일한 환경 데이터를 컴퓨터 상에서 실시간 반영하는 가상공간으로, 재해 발생 시 모의 시뮬레이션이나 위험 예측 등 대응력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평가다.  

프로젝트는 각 기관의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침수 예측과 홍수 시뮬레이션 등 수자원 솔루션을 제공하고, NTT e-드론 테크놀로지는 드론 기반 항공 촬영 데이터를 공급한다. NTT 동일본은 방재 인프라와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나가이시는 행정 데이터 제공과 사업 검증을 맡았다.  

특히 이번 시스템은 기존 인력 중심 현장 대응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디지털 트윈과 드론 데이터의 실시간 융합으로 기존보다 피해 예측·대응 속도가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미국, 유럽, 동남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도심 방재에 디지털 트윈 도입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일본 역시 인구 감소·기후변화 리스크가 심화되며 선진 기술로 맞춤형 재해 관리 체계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지 방재 인프라는 각종 재난 대응법, 정보통신망 규정 등 정책적 허들을 넘어야 하나,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존 글로벌 프로젝트 경험과 신뢰도를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모델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디지털 트윈이 방재를 넘어 도시계획, 유동 인구 분석 등으로 활용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업계는 방재 시스템이 실제 지역사회 안전망에 뿌리내릴지 주시하고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네이버클라우드#야마가타현#디지털트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