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망신주기”…윤석열, 특검 강제구인 시도에 정면 반발
체포영장 집행을 둘러싼 대립이 불거졌다. 김건희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이 강제구인 시도를 두고 정면 충돌했다. 진술거부권 행사와 인권 논란이 격돌하는 가운데, 특검은 2차 체포 시도까지 실패한 뒤 기소 방향을 저울질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법률대리인단은 7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조사를 위한 체포영장이 발부됐더라도 윤 전 대통령이 진술거부권을 행사하겠다면 집행돼선 안 된다”며 “공개적인 망신주기 외에는 어떠한 이유로도 설명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변호인단은 또 “특검은 이미 정해진 결론에 따라 일방적으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윤 전 대통령의 주장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변호인단은 “피의자가 진술을 거부할 경우 검찰은 기존 증거와 진술을 바탕으로 기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며 “문재인 전 대통령 역시 검찰 소환을 거부했고, 검찰은 조사 없이 기소한 사례가 있다”고 언급했다. “특검이 물리력을 행사하며 강제로 인치한다면 목적이 조사가 아닌 망신주기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인권과 절차적 기준이 무너져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오전 경기도 의왕 서울구치소를 찾아 두 번째 체포를 시도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 측의 강한 거부와 현장 내 부상 우려가 제기되면서, 체포영장 집행은 다시 중단됐다. 지난 1일 1차 체포 시도가 무산된 지 엿새 만으로, 당시에도 윤 전 대통령이 바닥에 누워 저항하며 집행이 이뤄지지 않았다.
체포영장의 유효기간은 이날까지다. 특검팀은 앞으로 체포영장을 재청구하거나, 대면 조사 없이 윤 전 대통령을 곧바로 기소하는 방안 등을 놓고 후속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 김건희 특검팀의 수사를 받고 있다. 그는 이미 지난달 10일 내란특검에 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상태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에서도 체포영장 집행 공방을 두고 찬반 여론이 일었다. 특검의 추가 법적 대응과 윤 전 대통령 관련 수사는 정국의 막바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