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수출 더 조인다”…미국 하이퍼스케일러, 대중 AI 칩 규제 동참에 시장 긴장
현지시각 13일, 미국(USA) 주요 클라우드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엔비디아(Nvidia)의 대중국(China) AI 칩 수출을 강화 규제하는 ‘게인 AI 법안(Gain AI Act)’에 공식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이 같은 조치가 글로벌 AI 반도체 공급망에 미칠 영향에 업계와 국제 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게인 AI 법안’은 미국 정부가 자국 내 하이퍼스케일러에 대한 칩 공급을 우선하도록 반도체 업체에 의무화하는 규정이다. 최근 AWS는 상원 보좌진에게 비공식 지지 입장을 전달했으며, MS는 미국 정책 총괄 책임자가 공개 석상에서 법안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내놓으며 지지 행렬에 합류했다. 이에 따라 AWS·MS 등 거대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데이터센터용 칩 확보에 유리한 환경을 맞게 됐다.

반면 엔비디아는 해당 법안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법안이 불필요한 시장 개입이라며, 칩 공급에는 문제가 없고 AI 산업의 병목은 오히려 전력 인프라에서 비롯된다는 주장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법안이 실제 발효될 경우, 기존의 미국 상무부 수출 통제보다 더 강한 규제로서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영업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법안은 민주당의 척 슈머(Chuck Schumer) 상원 원내대표 등 일부 의원의 지지를 받은 상황이지만, 공화당 의원들의 동의와 추가 상정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글(Google)과 메타(Meta) 등 다른 주요 하이퍼스케일러들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으며, AI 개발사 앤트로픽(Anthropic)은 지지 의사를 밝혔다.
글로벌 증권가와 주요 외신들은 이번 움직임이 기술 기업 간 이해관계 갈등과 미중 패권 다툼의 복합 위기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AI 칩 패권 전쟁의 새로운 국면”으로 분석했다. 퓨처럼 그룹의 애널리스트 레이 왕(Ray Wang)은 “엔비디아와 하이퍼스케일러 간의 갈등이 가격·수급을 넘어 산업 지형을 흔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시기 ‘AI 차르’였던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 등 감독 부처의 기존 규제가 이미 엄격히 작동하고 있다며 실제 파급력에 선을 긋는 시각도 존재한다.
AI 칩 대중국 수출이 좁아질 경우, 엔비디아 등 관련주와 글로벌 AI 반도체 공급망의 변동성이 커질 것이란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추가 입법 동향과 주요 기술기업의 입장 변화가 글로벌 테크업계와 시장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