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로 16조4천억 손실”…글로벌 자동차업계, 실적 급락 우려 확산
현지시각 7일, 미국(USA)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도입한 대규모 관세 정책 여파로 글로벌 10대 자동차 제조사가 올해 2분기에만 16조4천억원(118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기록한 사실이 드러났다. 관세 부담이 업계 실적을 가파르게 하락시키면서, 전 세계 자동차시장은 심각한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이 같은 결과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확인됐다. 도요타자동차가 30억 달러(4조2천억원)의 영업이익 감소를 보고하며 피해액이 가장 컸고, 폭스바겐·제너럴모터스(GM)·포드·혼다 등 주요 업체도 수억~수십억 달러의 관세 비용을 떠안았다. 현대차그룹의 관세 손실도 1조6천억원에 달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USA) 내 제조업 활성화 및 무역적자 축소를 목표로 강행됐으나, 단기간 내 생산 거점의 이전이 쉽지 않은 완성차 업계 특성상 피해가 고스란히 영업실적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WSJ는 올해 자동차 제조사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5% 감소할 것이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였던 2020년 이후 최대 하락 폭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각 사는 급격한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에 대한 즉각적 가격 인상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필립 후쇼아 제프리스 연구원은 “(기업마다) 경쟁사보다 먼저 가격을 올릴 유인은 없고,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비판받을 우려도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도요타는 “이번 회계연도(2025년 3월 종료)에만 관세 영향이 95억 달러(13조원)에 달하고, 연간 순이익이 44% 감소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미 의회의 친기업 법안 통과로 일부 업체의 비용 부담이 소폭 완화된 반면, 자동차 업체들은 현지 생산 확대에 여전히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GM은 쉐보레 이쿼녹스 등 일부 모델에 한해 미국 생산을 늘리기 위해 40억 달러 투자를 추진 중이지만, 업계 관행상 대규모 공장 이전은 기술적·시간적 제약이 크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이 자동차업계의 지역별 현지화 트렌드를 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북미,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별 소비자 선호도와 규제 환경 차이 역시 추가적 현지화 움직임을 자극하고 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해당 관세 부담이 규제 회피뿐만 아니라 미국 내 시장 수요에 대응하는 구조적 변화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대규모 해외 투자가 단기간 내 실적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글로벌 자동차업계는 당분간 관세와 투자 부담 사이에서 실적 불확실성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자동차 산업의 재편과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어떤 파장을 남길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