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베트남 미래 동반자 강조”…이재명, 럼 서기장과 투자·인프라 정상회담
정치

“한-베트남 미래 동반자 강조”…이재명, 럼 서기장과 투자·인프라 정상회담

박선호 기자
입력

한-베트남 관계를 두고 새로운 동력 확보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나흘 일정의 국빈 방한을 계기로 양국 간 미래 협력 의지를 재확인한다. 베트남전 과거사 논란이 여전히 잠재하는 가운데, 정상회담을 통해 정치-경제 분야 광범위한 협력 심화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럼 서기장이 이재명 대통령 초청으로 10일부터 13일까지 국빈 방한한다”고 밝혔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외국 정상 방문이기도 하다. 두 정상은 오는 11일 정상회담과 국빈 만찬을 갖고, 정치·안보 협력과 함께 교역·투자, 원전, 고속철도, 스마트시티, 첨단 과학기술, 인재 양성 등 다양한 미래 전략 분야 의제에 대해 심층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강 대변인은 “베트남은 우리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아세안 내 핵심 협력국”이라며 “럼 서기장의 국빈 방한은 한-베트남 관계를 더 미래지향적이고 호혜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아세안(ASEAN)과의 협력 강화에도 중요한 전기가 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자들의 소송 문제가 다시 부각된 것과 관련해, 강 대변인은 “한국과 베트남 양국은 수교 이후 과거보다는 미래지향적 관계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베트남 측에서도 미래지향적 관계 강화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를 도외시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산업 및 경제적 측면에서 상호 이익을 주고받으며 발전하는 관계로 나가길 바란다”고 부연했다. 다만, “정상회담 비롯 양국 정상 외교에서는 미래지향적이고 호혜적인 관계 모색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럼 서기장 방한이 한국-베트남 경제 협력, 첨단 산업 협력, 전략적 안보 파트너십 심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그러나 동시에 과거사 이슈가 불씨로 남아 있는 만큼, 정부의 균형 잡힌 대응이 요구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정부는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원전, 고속철 등 주요 협력 사업의 구체적 확대와 아세안 연계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양국 정상의 대화는 미래지향적 파트너십 구축과 함께 동남아시아 외교 지형 변화에도 적잖은 파급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베트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