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셀 3.47%↑ 상승세”…줄기세포 기대감에 기관 매수, 단기 반등세 강화
네이처셀 주가가 11월 12일 장중 26,850원까지 오르며 전일 대비 3.47% 상승세를 기록했다. 최근 한 달 사이 미국 조인트스템 임상 기대감과 줄기세포 테마 회복세가 맞물리며 투자 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이다. 단기적으로 20일선 상향 돌파 등 기술적 반등 흐름도 확인됐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네이처셀 주가는 2만 3천 원대 저점 형성 후 2만 7천 원선까지 반등했으며, 시가 26,100원, 고가 27,450원, 저가 25,750원 등 단기 변동폭은 완만했다. 6개월 누적으로는 아직 중기 조정 구간에 있으나, 최근 반등 국면이 강화되는 양상이다.

주가 흐름을 이끄는 요인은 미국에서 진행 중인 조인트스템(퇴행성관절염 치료제) 프로그램 확대 기대감 및 혁신치료제 지정 관련 내러티브다. 회사는 조인트스템 혁신치료제 지정의 공식 입장을 재확인하며 미국 내 치료 확대를 강조하고 있다. 다만 추가 임상 공시가 부재한 점은 주가 상승세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수급을 보면 외국인은 11월 초순부터 순매도로 전환(-4,635주와 -67,403주)한 반면, 기관은 같은 기간 순매수(각 37,714주, 21,803주)에 나섰다. 최근 1개월간 개인 거래 비중이 컸으며, 외국인 매도 시 약세, 기관 매수 확대 시 반등이 빠르게 진행되는 패턴이 뚜렷했다.
동일 업종 내 네이처셀(+3.47%)은 알테오젠, 펩트론, 에이비엘바이오, 코오롱티슈진과 비교해 중간권에 위치하며, 시가총액은 약 1조 7,300억 원(코스닥 39위), 외국인 비율은 8.43%로 업계 평균보다 낮다. 최근 영업이익률(-4.5%)은 적자에서 개선 추세이나, 실적 대비 밸류에이션(PER 1,126배, PBR 21.41배)은 부담 요인이다. 재무안정성(부채비율 11%, 당좌비율 947%)은 양호한 편이나, ROE는 -3.36%로 성장 기대만큼 수익성 개선은 더디다.
2024년 실적 기준으로 매출액은 323억 원, 영업이익 6억 원(영업이익률 1.85%), 순이익률 3.79%를 기록했다. 배당은 실시하지 않는다.
최근 급락 이후 저점 반발 매수세 및 EAP(확대접근프로그램) 기대 재부각으로 단기 반등세가 형성됐다. 줄기세포·재생의학 섹터의 흐름이 뉴스 및 허가 리스크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되는 양상도 이어지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26,000원선 지지가 주요 분기점이다. 이 선을 지키면 27,500원 돌파 여부에 따라 추가 반등 가능성이 점쳐진다. 반대로 25,000원 하락 시 조정폭이 커질 수 있다. 중기적으로는 조인트스템의 미국 허가 일정과 정책 방향이 주가 결정 변수로 분석된다.
투자자들은 줄기세포 치료제의 허가 불확실성, 재무개선 지연, 관계사 임상 결과, 원자재 가격, 정책 변화 등 리스크 요인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에서는 허가 신뢰성 확보와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여부에 시장 관심이 모이고 있다.
향후 네이처셀 주가 전망은 임상·정책 변수와 수급 구도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