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양평 공무원 사망 직권조사 착수”…특검팀 강압 조사 의혹 정면 대치
양평 공무원 사망 사건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직접 직권조사에 나서면서, 김건희 특별검사팀은 물론 정치권 내 긴장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특검팀의 수사 과정에서 인권 침해가 있었는지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10월 23일 양평 공무원 사망 사건과 관련해 직권조사를 개시한다고 김건희 특별검사팀에 공식 통보했다. 이날 오전 9시 40분쯤 인권위 직원 3명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위치한 특검팀 사무실을 찾아 개시 사실을 알렸다. 인권위 관계자는 "직권조사 개시를 통보하러 왔다"며 "조사 기간은 내달 14일까지로 계획하고 있으나, 필요시 연장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건은 50대 양평군청 공무원 A씨가 김건희 여사 일가의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으로 특검팀의 조사를 받은 뒤 10월 10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면서 불거졌다. 특히 사망 전 A씨가 남긴 메모에는 특검팀이 강압과 회유를 통해 특정 진술을 요구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 논란이 증폭됐다. 이에 대해 김건희 특별검사팀은 "강압 조사나 회유는 없었으며, 실제 회유할 필요조차 없었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건의 수사 방식과 양상을 두고 여야가 극명하게 맞서고 있다. 야권은 "특검이 무리한 수사를 강행하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는 반면, 여권에서는 특검팀에 대한 신뢰를 강조하는 분위기다. 민심 역시 사망 경위와 강압 수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면서 정치적 파장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한편, 인권위의 이번 직권조사는 사법 수사와 달리 출석 요구나 증거제출을 강제할 권한이 없으며, 조사 대상에 대한 처벌 권한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인권위가 직접 조사에 나선 것은 사건의 인권적 측면이 핵심 쟁점임을 방증한다는 분석이 뒤따랐다.
이번 인권위 직권조사가 진상 규명과 정치권의 갈등 구도에 어떤 변곡점을 만들지 주목된다. 정치권은 양평 공무원 사망 사건을 두고 다시 한 번 정면 충돌 양상에 접어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