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국가상징구역에 정체성 담는다”…행복청, 대통령집무실·세종의사당 기본방향 논의
국가상징 공간의 의미와 역할을 둘러싼 논의가 다시 불붙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국회의원들과 손잡고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의 기본방향을 논의하는 공식 토론회를 개최하며 정치권과 전문가, 시민들이 직접 머리를 맞댔다. 내년 설계 진행을 앞두고 국가정체성, 시대정신 등 ‘공간의 철학’이 어떠한 방향으로 담길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강준현, 김종민, 박수현 국회의원실과 공동으로 28일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를 연다고 23일 밝혔다. 전문가와 시민이 다양한 시각에서 세종 국가상징구역의 정체성과 마스터플랜 방향을 고민하는 취지다.

토론회는 두 부로 나뉜다. 1부에서는 충북대학교 황재훈 교수가 ‘국가상징구역의 가치와 비전’, 이화여자대학교 임석재 교수가 ‘대한민국의 정체성, 역사 공공성으로 정의하기’를 내용으로 발제한다. 2부에서는 성균관대학교 김도년 교수, 중앙대학교 송하엽 교수, 한국건축역사학회 우동선 회장, 오피스박김 박윤진 대표 등이 심층 토론과 질의응답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행복청은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가 지난 9월 말부터 본궤도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국제공모를 통해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의 위치, 부지 형상, 건축물의 배치 및 입면 등 세부 공간계획 청사진을 마련하게 된다. 12월 당선작이 발표되면 도시계획 수립과정에 돌입하고, 대통령 세종집무실 건축설계는 행복청이, 국회 세종의사당 설계는 국회사무처가 각각 별도 절차로 추진한다.
최형욱 행복청 시설사업국장은 “세종 국가상징구역은 대통령 집무실, 국회 의사당, 시민 공간이 조화를 이루는 세계적 명소가 될 곳”이라며 “이번 토론회는 국가정체성과 시대정신을 어떻게 공간에 녹일지 고민하는 중요한 계기”라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집무실·의사당 등 핵심 국가시설의 상징성과 운영 효율성, 그리고 시민 접근성까지 고려된 혁신적 공간 구성 필요성을 지적해 왔다. 전문가들은 국가상징구역 내 공간 배분과 설계 과정이 한국 정치의 새로운 상징이 된다는 점에서사회적 합의도 필수라고 강조했다.
행복청과 국회는 12월 국제공모 당선작 발표 후 도시계획과 건축설계를 차질 없이 진행할 방침이다. 세종 국가상징구역 조성 논의는 향후 국가 리더십의 공간적 상징성과 정치적 파급력까지 더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