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관세합의 후속 논의”…이재명 대통령, 재계 총수들과 ‘한미 협상’ 전략 머리 맞댄다

윤가은 기자
입력

한미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둘러싼 후속 조치 논의가 재계와 정부 사이에서 본격화된다. 대통령실이 밝힌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개최 소식에, 이재명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이 경제 현안을 두고 직접 협의에 나설 전망이다. 첨예한 국제 통상 환경 속에서 대통령과 재계가 머리를 맞대는 장면은 정치권과 산업계 모두에 긴장감을 주고 있다.

 

대통령실은 14일 "주말 사이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가 열릴 것"이라고 공식 알렸다. 이번 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 7대 그룹 총수가 대거 참석한다.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방위산업 등 각사 핵심 사업분야와 직접 연관된 한미 관세합의 내용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회동에서 “민관이 원 팀이 돼 변화하는 글로벌 무역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한미 협상 과정에서 재계가 정부 정책에 힘을 보탠 점을 치하하며, 규제·금융·공공·연금·교육·노동 등 구조개혁 관련 아젠다도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이날 회의는 한미 공동 팩트시트에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방산 등 주요 산업에 대한 세부 합의가 포함된 만큼, 개별 기업 차원의 시장 대응 전략뿐 아니라 산업별 협력방안을 놓고 심도 깊은 교환이 불가피하다. 기업들은 실질적 시장 충격과 기회 요인을 정부와 적극 공유하겠다는 입장이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대통령-재계 총수 회동이 갖는 상징성과 정책 파급력에 주목하고 있다. 여당은 “이재명 대통령이 통상 이슈에 직접 나서 경제안보를 챙기는 모습”이라 평가하는 가운데, 산업계는 정부와 재계가 긴밀히 협업해야 실전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반면 일각에서는 “국내 투자·일자리 창출 같은 본질적 과제에 총수가 참석하는 고위급 회동이 실제 역할을 할지 두고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내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차 출국을 앞둔 상황에서도, 이번 회동 내용을 경제외교 의제로 적극 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순방 기간 중 한미, 한일 등 주요 정상들과의 회담에서 국내 산업 협력방안을 구체적으로 점검할 것”이라며 경제계와 정부의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한편, 국회와 정치권은 한미 협상 후속조치에서 산업 현장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확보 여부에 주목하며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향후 업계 의견을 반영해 추가 지원과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재계총수#한미관세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