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7월 수출 7.2% 급증”…미국·희토류 수출 둔화, 글로벌 무역지형 변수로
현지시각 7일, 중국(China) 해관총서는 7월 수출이 3,217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했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이 수치는 로이터와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와 6월 실적을 모두 뛰어넘으며, 4.1% 증가한 수입과 함께 중국 무역지표의 예상 밖 반전을 암시한다. 이 같은 결과는 미국(USA) 등과의 무역 분쟁, 글로벌 수요 위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것이다.
2025년 7월 중국의 전체 무역 규모는 5,453억2,000만 달러로 5.9% 성장했고, 월간 무역 흑자 역시 982억4,000만 달러에 달했다. 올해 1~7월 누적 기준으로 수출은 6.1% 올랐으나, 수입은 오히려 2.7% 감소했다. 위안화 기준으로 환산할 때에도 수출입 모두 성장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국가별로는 뚜렷한 차이가 감지된다. 1~7월 대미 수출은 12.6%, 수입은 10.3% 각각 줄며 미중 무역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미국과의 무역 규모는 전년 대비 12.0% 축소됐다. 반면 유럽연합(EU)과는 수출이 견조하게 늘며 총 무역액이 2.8% 오름세를 보였고, 일본(Japan)과도 교역이 확대됐다. 한국과는 수출 감소, 수입 증가로 전체 무역은 소폭 감소했다. 아세안(ASEAN) 주요국, 특히 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와의 무역은 13.5% 성장해 역내 협력 강화 기조를 보여준다.
품목별로는 집적회로, 자동차, 선박, 비료 등이 강세였다. 다만, 희토류의 경우 수출량이 올해 누적으로는 증가했으나 7월 한 달만 놓고 보면 감소해, 단기적 수출 전략 변화나 대외 환경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시장 전망을 크게 웃도는 수출 호조에 대해 전문가들은 “미국 측 관세 인상 등 무역 장벽 도입을 앞두고 기업들이 선출하(앞당겨 출하)에 나선 영향이 크다”고 지적한다. 블룸버그 등은 “기업들의 조기 선적이 불확실성에 대한 일시적 방어책이었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컨테이너 처리량 감소 등 일부 지표는 내부적으로 수출 성장의 지속성을 장담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글로벌 무역 리스크와 세계 경기 둔화가 맞물리면서, 하반기 중국 수출의 추가 변동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관세와 수요 둔화 등 대외 변수에 따라 중국 무역지표가 다시 흔들릴 수 있다”며 신중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번 무역 데이터가 미중 통상관계, 글로벌 공급망에 어떤 추가 변화를 이끌지 주목된다. 국제사회는 중국의 수출 성장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인지, 단기 호조에 그칠지에 대한 신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