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논의 본격화”…소비진작·국민휴식권 기대
10월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이 정부 차원에서 논의되며, 대규모 황금연휴 실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25년 7월 17일, 이재명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제헌절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다.
올해 10월은 3일 개천절부터 9일 한글날, 그리고 5~7일 추석 연휴와 대체공휴일(8일)까지 이어진다. 정부가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최종 확정할 경우, 11일(토)과 12일(일) 주말까지 포함해 최대 10일의 연휴가 가능해진다. 이미 3~9일 7일간의 연휴가 확정된 만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에 시민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정부는 경제 활성화와 국민 휴식권 보장을 위해 필요할 때마다 임시공휴일을 지정해 왔지만, 2025년 1월에는 내수 진작 효과가 미미하다는 이유로 상대적으로 신중한 태도를 보인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이 등장하면서 소비 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며, 임시공휴일 지정론이 다시 힘을 얻고 있다.
임시공휴일 지정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3조에 따라 국무회의 의결과 대통령 재가 절차를 거쳐 확정된다. 보통 결정 후 최소 2주는 사전 안내 기간으로 두므로, 정부가 9월 26일까지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공식화하면 실현이 가능하다. 정부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은 없으나 경제 활성화 등 정책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충분한 휴식권 보장은 생산성 향상과 국민 건강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밝히며 연휴 확정 촉구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임시공휴일 정책이 실질적인 내수 진작으로 이어지려면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는 오는 9월 말쯤 공식 결정될 전망이다. 사회적 논의와 정책적 균형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 속에,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