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69배 농지 침수”…충남, 반복된 구조적 한계 드러나
7월 중순부터 전국적으로 이어진 기록적 집중호우로 인해 농경지가 대규모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충남지역 등 벼와 콩 주요 산지에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각 지자체 초동 조사 결과, 이번 폭우로 2만90헥타르(ha)에 달하는 농지가 물에 잠긴 것으로 18일 기준 집계됐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69배, 서울 면적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넓이다.
특히 침수 농지의 83% 이상이 집중된 충남은 당진·서산·예산·홍성 등 대표 평야지대까지 광범위한 피해를 입었다. 피해 작물은 벼 외에도 콩, 깻잎, 딸기, 수박, 쪽파 등 다양하게 집계되고 있으며, 가축 80만 마리 가까이가 폐사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 농민은 “평생 농사지은 땅이 단번에 물에 잠겼다”며 절망감을 전했다.

현장에서는 매년 반복되는 호우 피해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농업 전문가들은 “서해안 평야의 지형적 취약성을 고려한 배수 시설 확충 등 근본적 예방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충남 지역 피해의 여파로 올해 쌀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정부와 지자체는 재난지원금 지급과 농업정책자금 상환 유예, 금리 인하 등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올해 처음 도입된 농업수입안정보험을 통한 보상 절차도 진행된다. 동시에 병해충 방제, 가축 폐사 처리처럼 2차 피해 차단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당장 농가마다 생계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기상청이 추가 강수 예보를 내놓으면서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농업계 일각에서는 “지원만으로는 매년 반복되는 위기를 넘을 수 없다”며 근본적 제도 개선을 재차 촉구했다.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이번 침수 사태가 앞으로 쌀값과 전반적인 농산물 공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피해 규모와 복구 상황을 계속 점검하고 있다. 해당 사안은 근본 대책 마련 여부를 두고 후속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