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해보겠다”…이재명 대통령, 장관 후보자 거취 놓고 여야 의견 청취
장관 후보자 인사 문제를 둘러싸고 이재명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여야는 각각 장관 후보자들의 지명 철회와 낙마 불가 입장을 고수하며 극한 대치를 이어갔다. 정치권에선 이 대통령의 최종 결정 여부에 따라 정국이 한층 격랑에 휩싸일 것으로 보고 있다.
19일 이재명 대통령은 대통령실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선 이진숙 교육부·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거취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직접적인 공개 발언은 없었지만, 여러 정치권 관계자에 따르면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 “갑질과 청문회 위증이 밝혀졌다”고,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서도 “논문 표절뿐만 아니라 현안 무지도 드러냈다”며 두 후보자 지명 철회를 강하게 촉구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역시 “시중의 여론을 강력히 전달했다”고 밝히며, 정동영 통일부·김영훈 고용노동부·권오을 보훈부 장관 후보자들도 낙마 사유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같은 야당의 공개 요구에 대해 “고민해보겠다”는 입장을 짧게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그 외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고 말하면서, 사실상 지명 철회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해석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김병기 원내대표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장관 후보자에 대한 당의 입장은 변화가 없다”며, “회동에서도 그 입장을 분명히 전했다”고 설명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앞서 “상임위원회에서 결격 사유에 이를 정도의 문제는 없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상임위 결과를 대통령 비서실에 통보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장관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여야 공방이 계속되면서 정치권 전체가 긴장 속에 돌입했다. 특히 각 진영이 “인사 시스템 마비”와 “상임위 권고 존중”을 각각 내세워 강경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정국의 추후 흐름에 귀추가 주목된다.
국회는 향후 정기국회를 앞두고 장관 후보자 임명 문제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최종 결단이 여야 관계와 내각 안정에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