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전국 강타한 괴물 폭우”…사망·실종 26명, 특별재난지역 검토
사회

“전국 강타한 괴물 폭우”…사망·실종 26명, 특별재난지역 검토

오승현 기자
입력

기록적인 ‘괴물 폭우’가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전국을 휩쓸면서 전국 곳곳에서 심각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0일 오전 11시 기준, 전국 사망자 14명, 실종자 12명 등 총 26명의 인명 피해를 공식 집계했다. 사망자는 경기 오산 1명, 가평 2명, 충남 서산 2명, 당진 1명, 경남 산청 8명 등으로 파악됐다. 실종자는 광주 북구 2명, 가평 4명, 산청 6명 등이다. 수색과 구조 작업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최종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경남 산청군에는 단 하루 동안 300밀리미터에 육박하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며 사망 8명, 실종 6명 등 피해가 집중됐다. 누적 강수량은 798밀리미터에 달했다. 산사태와 침수, 토사 매몰 사고가 잇따랐으며, 19일 산청군은 군민 전원에게 “즉시 안전지대로 대피하라”는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이는 단일 지자체가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대피 권고를 내린 이례적인 사례였다. 현재 산청·합천 일대 11개 마을은 정전과 통신 장애까지 겪고 있다.

경남 산청군 도로에서 산사태 피해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 연합뉴스
경남 산청군 도로에서 산사태 피해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 연합뉴스

가평군에서는 새벽 시간 폭우로 펜션이 붕괴돼 70대 여성이 사망했고, 대보교 인근에서는 남성이 익사했다. 시간당 76밀리미터가 넘는 기습적인 강우로 인한 누적 강수량은 197.5밀리미터로 확인됐다. 충남 아산 염치읍, 서산, 전북, 광주 등지에서도 침수와 토사 유실, 주민 대피 등 비 피해가 이어졌다. 공무원, 군인, 자원봉사자들이 대거 복구작업에 투입돼 침수 가정 복구 및 진흙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공공시설 피해도 커 도로 침수 730건, 토사 유실 168건, 하천 붕괴 401건 등 총 1,920건이 집계됐다. 사유시설의 경우 주택 등 건물 침수 1,853건, 농경지 피해 73건 등 2,234건에 달한다. 이로 인해 전국 14개 시·도, 90개 시·군·구에서 9,694세대(13,209명)가 대피했으며, 3,836명은 여전히 복귀하지 못한 상태다. 폭우로 인해 항공기 58편이 결항되고, 국도·철도 일부 구간 및 국립공원 내 551개 탐방로도 통제되고 있다.

 

기상청은 20일 오후에도 수도권과 강원도 등 일부 지역에 소나기가 예보돼 있다고 밝혔다. 산사태 경보와 홍수 특보도 발효 중이다. 정부는 비상 근무 수준을 최고 단계(3단계)로 상향했고,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가동해 신속 대응에 나섰다. 피해 규모가 가장 큰 지역을 중심으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지원책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군·경 등은 수색과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추가 인명·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여부에 따라 피해 주민의 지원과 복구 작업의 속도가 좌우될 전망이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인명 피해 규모를 계속 조사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괴물폭우#산청#특별재난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