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중립수역 통해 남하”…북한 주민 1명 귀순, 군 긴급 신진 확보
한강 중립수역을 통한 북한 주민의 귀순 사건이 발생하며 남북 접경 지역의 긴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31일 인천 강화군 교동도 앞 해상, 한강 중립수역 부근에서 북한 주민 1명의 신변을 확보해 곧바로 관계 기관에 인계했다고 7일 밝혔다.
군 당국에 따르면 해당 인원은 남성으로, 한강 중립수역 내에서 최초로 포착돼 군 추적과 감시 끝에 신병이 확보됐다. 당시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식별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발견 당시 북한 주민이 귀순 의사를 명확히 밝혔으며, 이후 관련 기관으로 이송됐다”고 설명했다.

이 사건은 이재명 정부 들어 발생한 두 번째 북한 주민 귀순 사례다. 앞서 지난달 3일에도 중서부 전선 군사분계선(MDL)을 넘은 북한 남성이 귀순해 군 당국이 신병을 확보했다. 최근 한 달 새 두 차례 귀순 사례가 이어지면서 남북 접경 지역 관리 및 인도적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가 정치권 안팎에서 다시 불거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북한 이탈 주민의 귀순 경로와 군의 대응 체계, 향후 조사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여야 모두 인도적 원칙에 기반한 보호와 과학적 신원 확인 절차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유사 사건 발생 시 대비책 마련 요구도 힘을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귀순 동기와 경로, 북측 반응 등 다각적 파악이 중요한 변수로 떠오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사안을 계기로 군 당국은 접경 지역 감시 역량을 재점검할 계획이며, 정부도 북한 이탈 주민 보호정책과 연계한 제도 정비를 검토 중이다. 정치권은 북한 주민 문제를 둘러싼 안보 현안 논의와 제도 개선을 향후 국회 일정에서 본격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