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범죄, 선거까지 번진다”…라바웨이브, 국민 90% ‘심각’ 인식
딥페이크 합성 기술이 선거를 포함한 사회 전반의 위험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몸캠피싱 등 디지털 범죄대응 전문기업 라바웨이브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90.2%가 딥페이크 범죄의 사회적 위험에 대해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50대 응답층에서는 심각성을 인식하는 비율이 95.3%에 달해 연령층별 우려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딥페이크가 선거 후보자 당락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응답도 85.3%에 달해 2025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업계는 이번 조사 결과를 딥페이크 기반 디지털 범죄 대응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1007명을 대상으로 2024년 6월 4일부터 5일까지 무선 RDD(임의 전화걸기)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로 집계됐다.

딥페이크 범죄의 악용 대상에는 연예인(34.6%)과 일반인(26.7%), 정치인(18.7%) 순으로 피해가 집중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는 음란물(45.7%)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금융(19.0%), 정치(17.9%), 연예·방송(8.7%)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제 영상과 딥페이크 영상의 구별력에 대해서는 절반가량(49.3%)이 “구분이 어렵다”고 응답했다. 딥페이크 진위 식별력 취약은 선거 등 공공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실질적 위험을 배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라바웨이브와 리얼미터는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딥페이크 국민 인식조사’를 반복 시행해 예상되는 문제점을 부각하고, 공정성 확보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기술적 대응뿐만 아니라 개인 일상 속의 보안 습관 강화 역시 중요하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보안 전문가들은 얼굴이 뚜렷하게 나온 고화질 사진이나 음성 파일이 딥페이크 생성의 학습 데이터로 악용될 수 있으므로 SNS 공개 범위 최소화, 프로필 노출 자제 등 정보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가짜 콘텐츠 판별 능력)와 팩트체크, 딥페이크 감지 도구를 이용한 자기 점검도 효과적인 예방법으로 꼽힌다.
딥페이크 영상통화나 음성 메시지 등 신종 수법이 빠르게 고도화되고 있어, 의심스러운 요청이 오면 반드시 타 채널을 통한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한편 미국과 유럽 등은 딥페이크 관련 규제 강화와 감지 기술 상용화를 집중 추진 중이다. 국내 역시 개인정보·가짜뉴스 방지 관련 법안과 기술 인증 체계 논의가 가속화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딥페이크 확산으로 정보 신뢰 하락 우려가 커진 만큼, 애플리케이션 차원의 기술 대응과 더불어 대중의 이용습관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과 공공 선거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