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수술로 가임력 보존”…연세용인세브란스, 자궁경부암 환자 자연임신 성과
다빈치 로봇을 활용한 자궁경부절제술이 자궁경부암 진단 여성의 가임력 보존과 건강한 임신 실현에 실질적 전환점을 만들고 있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의료진이 시행한 로봇수술로 30대 환자가 암 치료 후 자연임신과 만삭 출산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사례는 정밀한 로봇 보조 외과 기술의 임상 효용성 및 젊은 여성 환자의 삶의 질 개선 측면에서 업계 이목이 집중된다. 의료계에서는 이를 ‘정밀외과와 재생산의 융합 혁신’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해당 환자 A씨(33)는 2020년 자궁경부암 진단 후 가임력 보존을 위해 다빈치 로봇 수술을 선택했다. 해당 수술은 고해상도 3차원 영상과 자유도 높은 미세조작이 가능한 로봇팔을 이용해, 암 진행도를 판단하면서 자궁경부만 제거하는 방식이다. 기존 개복이나 복강경 수술보다 출혈량을 줄이고, 골반 신경 손상과 회복 지연 위험성을 크게 낮췄다는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실제로 젊은 환자들에게서 빠른 회복과 수술 후 삶의 질 유지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개복수술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다.

A씨는 수술 이후 정기 추적검사를 이어가며 인공수정 등 보조생식술을 시도했으나 끝내 임신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자연임신에 극적으로 성공하며 산부인과 발전사가 주목하는 극히 드문 만삭 출산을 기록했다. 통상 자궁경부절제술 후 임신 성공률은 40~70%로 파악되지만 자연임신 비율은 낮으며, 조산 위험이 높아 실제 생존 출산에 이르기는 매우 어렵다는 게 전문가 견해다.
글로벌 기준으로도 정밀 로봇보조 수술의 가임력 보존 및 재생산 임상 결과는 제한적으로 보고됐으나, 연세용인세브란스 사례처럼 환자의 기대 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진단·치료 융합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주요 의료기관들도 젊은 여성 암 환자 대상 정밀 외과-보조생식 연계 프로토콜을 지속 개발 중이다.
다만, 국내외적으로 로봇수술 고도화 관련 의료기기 규제, 보험 적용, 임상 데이터 표준화 등 현안도 산적하다. 식약처의 로봇수술기기 허가·인증, 의료기관 윤리 심의 등 진입장벽도 높다. 각국 정부와 보건당국은 로봇 기반 외과 플랫폼의 안전성 평가와 여성환자 권익 보호를 동시에 도모해 나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정밀외과 및 로봇수술 기반 여성암 치료의 실사용 가능성·혁신성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윤리, 산업과 제도 간 균형이 새로운 성장의 조건이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