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내란 사태 이후 헌법 교육 전면 시행”…황인권 처장 “책임성·정당성 강화할 것”
내란 사태 후폭풍 속 대통령경호처가 조직 쇄신을 위한 전 직원 대상 헌법 교육에 착수했다. 황인권 경호처장이 직접 교육의 필요성을 주문하면서 법적 정당성과 책임성 강화를 내세웠다. 조직의 반성 기류와 ‘법치 기반 경호’ 원칙을 명확히 한 행보에 정치권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경호처는 12일 "전 직원과 경호지원 부대원을 대상으로 헌법 교육을 실시했다"고 공식 밝혔다. 경호처는 “경호 활동 전반에 헌법 가치를 내재화하고 법적 정당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교육은 12월 3일 내란 사태 이후 제기된 조직 쇄신 필요성, 그리고 황인권 경호처장이 지난 9월 “법에 기반한 판단력과 정당성을 갖춘 책임 있는 경호 임무를 수행하라”고 주문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경호처는 지난달 13일 헌법재판소 산하 헌법재판연구원 소속 교수를 초빙해 오프라인 집체 교육을 실시하고, 영상 자료 시청도 병행했다. 교육 과정은 헌법, 통치 구조, 국민 기본권 등으로 구성됐으며, 11일까지 모든 경호처 소속 직원이 이수했다. 경호지원 부대에도 영상 자료를 제공해 군·경찰 요원들 역시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경호처는 앞으로 헌법 강의 영상을 내부 포털에 상시 게재하는 한편, 내년부터 헌법 교육을 연 2회 정기화해 헌법적 가치에 입각한 경호문화를 확산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황인권 경호처장은 “헌법은 국가를 지탱하는 근본 규범이자 공직자의 모든 판단과 행동의 기준”이라며 “헌법 가치를 토대로 할 때 국민이 신뢰하는 경호가 가능하다. 앞으로도 ‘열린 경호, 낮은 경호’의 가치를 확산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경호처 조직 쇄신 노력은 정치권에도 직간접적 파장을 낳고 있다. 강병인 기획관리실장 직무대리는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비상계엄 상황과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부적절하게 처신했다”며 공식 사과하고, 법적 절차 준수를 약속한 바 있다. 이를 두고 국회와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경호체계 정상화와 법치 실현을 위한 시범 모델로 경호처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경호처의 헌법교육 정례화 흐름이 향후 정부 내 타 기관에도 확산될지, 안팎의 관심이 이어진다. 경호처는 내년부터 더욱 강화된 헌법 교육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