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결제 공식화”…러시아, 금융제재 우회 전략에 국제사회 경계 고조
현지시각 21일, 러시아(Russia) 재무부와 중앙은행이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암호화폐의 외환결제 사용을 공식적으로 합의하는 등, 서방 제재의 금융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한 법적 조치를 착수했다고 bitcoinsistemi 등 외신이 전했다. 이번 결정은 그간 당국 간 이견이 지속됐던 대외 결제 방식의 대체책에 대한 첫 공동 입장으로, 국제 금융질서에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현지시각 기준 2025년 10월 21일, 암호화폐 결제를 공식 허용하는 법안을 마련해 외환거래에서의 활용 근거를 제시했다. 안톤 실루아노프(Anton Siluanov) 재무장관은 “암호화폐의 결제 활용은 단순 송금을 넘어 해외 자본 유입의 연구 분야로 중요하다”며, “법적 기반 마련과 감독기관 관리 강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제재로 인해 국제 결제 시스템에서 소외된 현 상황에서, 비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이 새로운 결제 인프라로 도입되는 것이다.

러시아는 이미 지난해 일부 기업들이 제한적으로 비트코인을 통한 해외 거래를 시도한 전례가 있지만, 이번 합의로 무역 결제가 명확히 법적 보호를 받게 되면서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편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미국 달러(USD) 중심의 국제 금융체제에서 벗어나 독자 결제망을 구축하는 탈달러화 흐름의 한 축”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미국(USA)과 유럽연합(EU) 등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제재 회피 시도에 경계감을 드러내고 있다. 일부 국제 금융기관은 “암호화폐가 제재 우회에 활용된다면, 글로벌 통화정책 신뢰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 내부에서도 암호화폐 변동성, 투명성 부족, 자금세탁 위험성 등 부작용에 대한 신중론이 지속되고 있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러시아의 암호화폐 결제 합법화는 국제 금융질서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드리우고 있다”고 평했다. CNBC 등은 “러시아가 디지털 자산을 전면적으로 도입할 경우, 국제 사회의 규제·압박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암호화폐의 외환결제 법제를 단계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보면서도, 국가 차원의 시장 진입이 ‘제재 우회 수단’으로 인식돼 추가적인 외교·경제적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암호화폐 특유의 가격 변동성과 리스크는 여전히 제도적 채택의 불확실성을 남긴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의 실질적 이행과 그에 따른 글로벌 금전 흐름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