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사자 유가족 찾기 사업, 우수 행정기관에”…울주군, 국가보훈 행정 강화 입증
지방자치단체의 보훈 행정 역량을 두고 정부와 현장이 맞붙었다. 6·25 전사자 유가족 찾기 사업에서 국방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울산 울주군이 우수 행정기관으로 선정돼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 실적과 협업 체계를 평가한 국방부의 결과가 공개되면서 국가보훈 행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방 행정의 참여가 한국 보훈정책 추진의 핵심 구조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상 배경에는 울주군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가 숨어 있다는 해석이 뒤따랐다.
울산 울주군은 10월 23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주관한 ‘6·25 전사자 유가족 찾기 사업’에서 우수 행정기관에 올랐다고 밝혔다. 울주군은 이번 성과에 힘입어 국방부장관 감사장과 감사패도 함께 받았다.

6·25 전사자 유가족 찾기 사업은 국방부가 6·25전쟁 미수습 전사자 명부를 전국 지자체에 제공하고, 지자체와 민·관·군이 협력해 유가족 소재 파악 및 유전자 시료 채취에 나서는 사업이다. 국방부는 유가족 발굴과 DNA 시료 채취 실적,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정도 등 다각적인 지표를 종합해 울주군을 포함해 전국 5개 기관을 우수기관으로 선정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보훈행정 실효성을 강화하겠다는 국방부 정책 방향과 맞닿아 있다.
울주군은 지역 군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고,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유가족 찾기 사업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는 평가다.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와 행정이 유기적으로 소통하며 실질적인 유전자 시료 채취, 자료 확보에 힘을 모았다.
이순걸 울주군수는 “이번 수상은 6·25 전사자 유가족 예우와 국가보훈 행정 강화에 대한 울주군의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라고 자평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에 대한 따뜻한 보훈 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군수의 발언은 지방자치단체가 국민 통합의 행정 주체로 거듭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울주군을 필두로 한 지방자치단체의 보훈 행정 강화 움직임이 다른 지자체로 번질지 주목하고 있다. 국방부와 지자체 간 협업 체계가 한층 강화될 경우, 유가족 발굴과 국가보훈 행정의 현장 체감도 역시 높아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이번 평가 결과를 계기로 지방 행정 주도의 보훈 정책 실효성을 두고 논의가 확산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