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 지자체 협력 없인 한계”…이석연-오세훈 대화에서 드러난 통합 과제
국민통합을 둘러싼 협력 방안을 두고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이석연 위원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맞붙었다. 국민통합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제안하며 정치권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현장에서는 정책 철학의 차이가 진영 갈등을 키운다는 문제의식도 함께 제기됐다.
22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열린 만남에서 이석연 위원장은 “국민통합은 중앙 정부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고, 지자체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지자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지방 4대 협의체 대표자를 위원으로 추가할 예정”이라며, 현장 목소리 수렴을 위한 제도적 장치 강화 의지를 밝혔다.

이어 이 위원장은 “지자체와 협력해 취약계층이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세심히 살피겠다”며, 지방 행정의 역량과 책임을 국민통합 과제에 접목할 것임을 시사했다. 또 “국민통합을 위한 값진 조언을 언제든 해준다면 정부에 적극적으로 전달하겠다”고 덧붙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국민통합 정책에 대해 “약자와의 동행, 서울시와 지방의 공존 등 국민통합 정책을 시정의 중요 과제로 추진해 상당한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국민통합을 위해 서울시에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다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그러나 오 시장은 생각과 철학의 차이가 진영 간 갈등을 확대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생각과 철학의 차이가 진영 간 갈등을 확대하는 측면이 있다”며 “통합위원회 차원에서 차이를 최소화하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보다 앞서, 이날 오전 이석연 위원장은 이종찬 광복회장을 예방해 건국절 논란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이 위원장은 “대한민국은 1919년에 건국된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며 “건국절 논란은 위헌적 발상으로 공식적 차원의 논쟁은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찬 회장도 “헌법이 곧 우리의 정체성”이라며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인정함으로써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고 화답했다.
정치권은 국민통합을 둘러싼 실질 협력과 이념 갈등의 해소를 놓고 각자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여야 간 대응 방식 차이와 시민사회 의견이 표류하는 가운데, 대통령실 산하 국민통합위원회가 지자체·시민과 소통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향후 논의가 주목된다. 정부는 국민통합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소통 강화 방안을 추가로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