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가 직접 전화해 ‘공천 어렵다’ 전달”…김영선·김 여사, 특검서 엇갈린 진술
공천개입 의혹을 둘러싸고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과 김건희 여사가 정면으로 엇갈린 진술을 내놨다. 양측 입장이 충돌하면서 특검 수사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영선 전 의원은 4일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 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김건희 여사가 전화를 걸어와 공천이 어렵다고 들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의원은 "김 여사와 2~3차례 통화했다"고 밝혔으며, 그 과정에서 "내가 보궐선거에도 나가고 열심히 뛰었는데 왜 공천을 못 받느냐"고 자신의 입장을 하소연했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다만, 김 전 의원은 "김 여사가 김상민 전 검사에게 공천을 양보하라던가, 양보 대가로 장관직이나 공기업 사장 자리를 약속한다는 제안은 없었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김영선 전 의원은 "김 여사와의 통화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덧붙였다. 반면, 김건희 여사는 전날 특검팀 조사에서 "김 전 의원이 계속 공천 관련 연락을 해와 대통령실 정무수석실을 통해 차단했다"고 진술했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주장은 핵심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쌍방의 주장이 상반되자 정치권과 법조계는 '진실공방' 구도로 주목하고 있다. 앞서 대통령실 관계자 역시 논란을 일축하며 공식 반박에 나선 바 있다. 아울러, 특검팀은 양측 진술과 실제 통화 내역 등을 비교 분석하며 김건희 여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공천개입 의혹 실체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편, 김건희 여사가 지난 4·10 총선 당시 김상민 전 검사의 창원 의창구 출마를 적극 지원했다는 의혹도 다시 불거지고 있다.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는 "김 여사가 김상민 검사가 당선되면 선거 후 장관 또는 공기업 사장 자리를 주겠다고 했다"고 주장해 논쟁이 확산됐다. 이에 대해 김 전 의원은 "보도를 통해 내용을 접했을 뿐, 자신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특검에 전달했다.
이와 별개로, 김건희 여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2년 대선 과정에서 명태균씨로부터 불법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받고, 6·1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김영선 전 의원의 창원 의창구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윤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공천 발표 직전 명태균씨와 통화하며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 김영선을 좀 해달라"고 말한 녹취록도 공개됐다.
특별검사팀은 의혹이 제기된 공천 시기 공천관리위원장이던 윤상현 의원을 지난달 27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지난 2일에는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당시 공천 과정에 대통령 또는 김건희 여사의 영향력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진술 엇갈림이 국민의힘 내부에도 상당한 파장을 낳을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나온다. 향후 특검 수사가 통화 내역 확인 등에서 결정적 단서가 드러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검팀은 관련 인사 추가 소환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