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망 복구율 63.9% 돌파”…정부, 전산망 정상화 속도전
정부 행정 시스템의 전산망 복구가 중대 고비를 넘고 있다.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장애로 709개 정부 전산망 시스템이 중단됐지만, 한 달 만에 복구율이 63.9%에 도달했다. 22일 행정안전부는 오후 9시 기준 453개 시스템이 정상화됐다고 집계했다.
이번 장애 복구는 행정통신망 뿐 아니라 보건·복지·과학기술 등 주요 정부 기능 전반에 영향을 준 만큼, 국가 IT 인프라의 신속한 복원을 가늠하는 시험대로 간주된다.
행안부가 밝힌 등급별 복구 현황을 보면 1등급(핵심 시스템)은 40개 중 32개가 복구돼 80%를 넘어섰다. 2등급은 68개 중 49개(72.1%), 3등급은 261개 중 178개(68.2%), 4등급은 340개 중 194개(57.1%)의 복구를 기록했다.
기존 대비 신규 복구 시스템으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본부 업무지원, 국가데이터처 업무관리, 보건복지부 통합개방DB 등 공공데이터 서비스가 포함됐다.
특히 이번 복구는 시스템 등급별 중요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엄격한 백업체계와 재해 복구 절차의 적시 이행 여부가 성패를 좌우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외 주요국가도 공공 IT 인프라 사고 발생 시 핵심 등급 서비스의 신속 복구와 서비스 분산화 도입을 혁신 과제로 삼고 있다.
정부는 향후 데이터 보안 강화와 재해 대비 시스템 점검을 병행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복구 경험이 정부 디지털 인프라의 안정성 강화와 시스템 재설계, 정책 입안에 새로운 기준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시스템 복구가 실제 현장 행정서비스 정상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