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고수온 ‘경보’에 방역 총력”…경북도, 양식장 피해 최소화 대응
동해안 고수온 피해를 둘러싼 우려가 현실화되며 경상북도가 긴급 점검과 현장 대응에 착수했다. 최근 기록적인 폭염으로 수온이 상승하자 경북도와 어업인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당국은 이미 영덕 지역 일부 양식장에서 강도다리 1천600마리 폐사 신고가 접수된 상황에서 더 큰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경상북도는 8월 1일 동해안 전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된 데 이어, 7일 지역 내 피해 현황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도 관계자에 따르면, 전날까지 영덕의 한 양식장에서 강도다리 집단 폐사 사례가 발생했으며, 추가 신고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양경찰서, 수협, 동해안 시군, 어업인 등은 고수온 대응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현장 점검과 해상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최영숙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지난해 역대 최장 고수온으로 약 300만 마리의 양식어류가 폐사하고 31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며, "올해는 더 빠르게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 본부장은 “양식 어가도 스스로 관리와 예방에 더욱 힘써 달라”고 주문했다.
경북도는 고수온 피해가 우려되는 양식장에 대한 현장 점검을 확대하는 한편, 어업인들에게도 실시간 수온 정보와 주의 사항을 문자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매일 제공하고 있다. 약 1천500여 명의 어업인과 공무원이 신속 통보 체계 아래 긴밀히 협조하는 중이다.
당국은 발생 가능한 폐사 사례들을 조기 포착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한편, 긴급 신고 체제와 현장대응반 운영을 실질적으로 강화해 피해 확산을 연쇄적으로 차단한다는 전략도 내놨다.
정치권 및 수산업계 일각에선 "집중호우로 인한 내수면 피해에 이어 해양 고수온까지 겹치면서 어업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 기록적 고수온 사태의 후유증을 겪은 어가들도 연이은 재난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북도는 합동 대응 및 예찰 체계를 지속적으로 가동할 방침이다. 향후 기온 및 수온 변화에 따라 전국적으로도 대응 분위기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