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급 인사 단행”…이재명 대통령, 중노위원장 박수근·방사청장 이용철 내정
고위급 인사 개편을 둘러싸고 이재명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정책 추진력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장차관급 6명에 대한 신규 임명이 이뤄지며, 각 분야의 노사관계·방위력·소상공인 지원 강화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여론과 정치권은 실무 현장 중심 인선 효과와 향후 정책 주도권 확보 전략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에 박수근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를 내정했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박 내정자는 변호사 출신으로 노동법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라며 "성숙한 노사관계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역할을 강조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2차관 으로는 이병권 전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이 임명됐다. 이번 인선은 소상공인 보호와 지원을 위한 전담 차관 신설 이후 첫 임명이다. 김 대변인은 "이 신임 차관은 골목상권 보호 정책 경험에 강점이 있다"고 소개하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방위사업청장에는 이용철 전 방사청 초대 차장이 낙점됐다. 김 대변인은 "방위사업청의 문을 열었던 경험이 있던 데다 방산 4대 강국이라는 목표를 실현할 최적 전략가"라고 설명했다.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에는 한삼석 권익위 상임위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에는 이정렬 개인정보위 사무처장이 각각 임명됐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상임위원으로는 이정한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선임됐다.
여권 관계자는 현장 경험과 전문성이 강조된 이번 인사에 대해 "주요 정책의 실행력 제고를 위한 인재 등용"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야권 일부에서는 대통령실 내정 과정의 투명성과 역동성을 두고 검증 필요성을 거론했다.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노동, 방위, 소상공인 등 분야별 현안을 직접 챙기며 내각의 추진력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경제와 민생, 국방 등에서 실효적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확대되면서 신규 인선자들의 정책적 성과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향후 새 진용을 갖춘 각 부처는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이행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대통령실은 추가 인사 및 내각 재편도 검토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