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함정 정비에 민간 역량 투입”…한국선급, 독도함 기술용역 수주로 MRO 사업 본격 진출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둘러싼 민군 협력 체계에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한국선급이 해군 군수사령부로부터 대형수송함 독도함 창정비 품질검사 기술용역을 수주하며, 수상함 MRO 영역에 민간이 본격 진입하는 첫 사례를 만들어냈다. 전문성과 효율성, 그리고 신뢰도 제고라는 과제가 맞물리며 정부와 민간의 협력 필요성이 다시금 조명을 받고 있다.
한국선급은 7일 “해군 대형수송함(LPH-I) 외주 창정비 품질검사 기술용역을 맡았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함정 설계와 시스템 운영의 복잡성이 높아지는 현 흐름 속에서, 민간 전문기관의 역량을 활용해 정비 품질관리 체계 고도화 및 효율성·신뢰성 확대를 꾀한다는 목표 아래 추진됐다.

특히 기존에는 군 내부 또는 일부 지정 업체에 국한됐던 해군 수상함 정비 품질검사 영역에, 공인 민간 검사기관이 참여한 것은 처음이다. 이에 따라 이번 수주가 민군 기술 협력 체계에 전환점을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선급은 이미 2021년부터 해군 잠수함 창정비 품질검사 업무를 수행해 온 바 있다. 이번 독도함 기술용역으로 업무 영역은 잠수함에서 수상함까지 확대됐다. 수주 내용에는 대형수송함인 독도함을 대상으로 한 조선소 장비 분해, 정비 및 설치 검사, 자재 규격 적합성 확인, 시운전 입회 검사 등이 포함된다.
김상수 한국선급 함정사업단장은 “이번 사업이 해군 함정 MRO 분야에서 한국선급이 본격적으로 진입하는 첫걸음”이라며 “향후 해외 수출 함정 MRO 산업 진출 기반 마련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군은 시스템 고도화와 민간 전문기관의 역량 결집을 통해 정비 효율성 강화 및 품질 신뢰성 확보를 노린다는 방침이다. 군정책 라인에서는 민간 참여 확대에 따른 내부 평가와 후속 대책 마련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과 국방업계에서는 민군 협력 시도가 해군 MRO 시장 개방과 국방 산업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 추가적인 민간 참여와 민군 기술교류 확산 여부가 해군 장비 정비 산업의 중장기 판도 변화에 어떤 영역을 남길지, 관련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