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외품 모바일검색 가이드라인 논의”…식약처, 민관협 총회로 품질·표시 기준 재정비
의약외품의 제조·품질관리와 표시·광고 정책이 산업 현장의 요구에 맞춰 다시 논의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2일 ‘의약외품 품질관리 민관협의체’ 하반기 총회를 열고, 모바일 간편검색(바코드·QR) 서비스 도입에 따른 표시의무 완화, 그리고 품목군별 맞춤형 제조·품질관리기준(GMP) 가이던스 개정 등 핵심 정책 방향을 점검했다. 이번 총회에는 40여개 의약외품 기업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여성소비자연합 등 60여명이 참여해 GMP 및 표시·광고 분과에서 도출된 안건과 제도 개선방안을 심층적으로 논의했다.
핵심 이슈로는 ‘의약외품 모바일 간편검색 서비스’ 도입 시 제품 포장 내 표시의무 일부를 완화하는 방안이 논의됐으며, 지난해 공정밸리데이션 표준문서를 현장에 배포하고, 부적합 사례를 반영한 표시·광고 가이드라인을 올해 4월 개정하는 등 최근 소비자 안전 및 업계 편의 간 균형 잡힌 규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평가다.

현장 기업들은 “표시·광고 완화와 정책 소통이 원활해지고 있다”며 협의체의 효과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실제로 스마트폰·웹 기반의 신속 검증이 가능해지면서, 기업 및 소비자 모두의 접근성과 효율성 증대가 산업 현장의 큰 변화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번 논의는 일본·유럽 등 주요 선진국 사례에 비춰 IT와 바이오 융합적 산업환경 변화를 어떻게 국내 제도로 빠르게 반영할 것인지의 시험대로 작용한다. 업계 역시 제품별 표시·홍보 규제 이슈와 모바일 서비스 확대 과정에서의 실효적 품질관리 체계 확립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들고 나온 상황이다.
식약처는 관계 기관 및 기업과 함께 이번 총회 결과물을 바탕으로 올해 안 정책 반영 및 협의체 운영 개선 사항을 적극 수렴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의약외품 산업에 모바일 정보접근성 기반의 규제 혁신이 자리잡고, 표시·광고 규제 또한 시대 흐름에 맞춰 유연하게 작동할 때 품질과 안전, 산업 효율성이 모두 향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 협의가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