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배터리 자원순환 혁신”…양산 산업지원센터 완공→폐배터리 생태계 승부수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며 사용 후 배터리 자원의 안정적 순환이 국내외 자동차 산업의 핵심 의제로 부상한 가운데, 경남 양산이 미래차 배터리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기반을 마련했다. 경남도와 부산시가 공동으로 추진한 ‘미래차 배터리 산업지원센터’가 12일 양산 가산일반산업단지에서 공식 준공식을 갖고, 자원 재순환과 기업 기술 혁신의 허브로 첫 발을 내딛었다. 전기차 배터리의 재사용·재활용을 아우르는 실증·지원체계 구축에 나선 이번 센터의 완공은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화답하는 남부권의 전략적 포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 경남테크노파크 및 부산테크노파크 등 연구기관의 협력이 긴밀히 이어진 가운데, 총 189억4천만원이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가 결실을 맺었다. 센터는 1,606㎡의 실내 공간에 연구동과 시험동을 갖췄으며, 200개 이상 배터리 보관 설비와 진단·성능평가 장비 등 첨단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곳에서는 수집된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한 세밀한 성능 평가를 실시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제품은 E-모빌리티 전동화 분야에 적용한 실증시험을 거쳐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재사용이 곤란한 배터리는 재활용 공정으로 이관돼, 핵심 소재로 순환되는 자원화 과정까지 유기적으로 아우른다.

경남도 김명주 경제부지사는 센터 완공을 통해 남부권이 전기차 배터리 자원 재순환 지원체계를 선점할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향후 도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 전문 인력 양성 등 통합적 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대, 미래차 배터리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은 국내 자동차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혁신적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진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