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건희에 인사자료·금거북이 전달”…이배용, 윤 정부 첫 국가교육위원장 인사청탁 의혹 불거져
정치권의 인사 청탁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 직후 김건희 여사를 직접 만나 인사 자료와 금거북이 선물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대가성 여부를 집중 수사하고 있다. 관련 의혹은 윤석열 정부 초기 인사 시스템을 둘러싼 정국의 또다른 갈등 요인으로 부상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이배용 전 위원장은 2022년 4월 12일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서 김건희 여사, 그리고 정진기언론문화재단 정모 이사장과 함께 ‘3자 회동’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민중기 특검팀은 당시 이 전 위원장이 국가교육위원장의 자격과 역할 등을 설명하는 문서를 김 여사에게 전달한 사실에 주목하며, 그 경위와 목적을 살피고 있다.

이보다 2주가량 뒤인 2022년 4월 26일, 이배용 전 위원장은 정씨와 함께 김건희 여사가 운영하던 전시기획사 코바나컨텐츠 사무실을 방문해 금거북이를 선물로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6월에는 자신의 업무 수행 능력을 정리한 추가 문서를 건넨 정황도 드러났다. 특검팀은 이러한 행위 일련의 흐름이 인사 청탁 및 금품 수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배용 전 위원장이 같은 해 9월, 윤석열 정부 첫 국가교육위원장에 임명된 점과 맞물려 공직 청탁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지난 6일 특검팀의 대면조사에서 이 전 위원장은 진관사 회동 자체는 인정했지만 “대화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금거북이에 대해서도 “대선 당선 축하의 의미로, 대가성은 없었다”고 부인했다.
이에 대해 야권을 중심으로 “윤석열 정부 인사 과정의 투명성에 결정적 흠집이 생겼다”는 지적이 나오는 반면, 이배용 전 위원장 측은 “단순 선물이었고 위법은 없었다”고 거듭 해명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청탁금지법 위반 가능성,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역할 등이 정국의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13일 오전 10시 이배용 전 위원장을 다시 소환해 대가성 여부를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이 전 위원장은 참고인 신분이지만, 금품과 인사 자료 전달의 대가성이 입증될 경우 청탁금지법 위반 피의자로 전환될 수도 있다. 특검팀은 관련 증거 확보와 함께 윤석열 정부 초기 인사행정 전반으로 수사 범위를 확대할지 신중히 검토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