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교유착 의혹 재수감 이후 보석 요청”…한학자, 건강 사유 내세워 법원에 불구속 재판 추진

강다은 기자
입력

정교유착 의혹을 둘러싸고 통일교 한학자 총재가 다시 한 번 법원 문을 두드렸다. 2022년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게 정치자금 1억원을 전달한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된 한학자 총재는 14일 법원에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을 수 있게 해달라며 보석을 청구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한학자 측은 13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7부에 보증금 조건 등의 방식으로 한시적 석방을 허락해달라는 내용의 보석 신청서를 제출했다. 현재 심문기일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번 보석 청구는 앞서 한 총재가 건강 문제로 구속집행정지를 받아 일시 석방됐다가, 지난 7일 연장 불허 결정에 따라 다시 구치소로 이송된 직후 나왔다. 재판부는 지난 4일 한 총재 측의 건강상 특별사유를 인정해 구속집행정지 결정을 내리고 안과 수술이 가능하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한 총재 측이 수술 이후 회복 필요성을 주장하며 추가 연장을 신청했으나,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학자 총재는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과 공모해 윤석열 정부 측에 통일교 지원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게 1억원의 정치자금을 건넨 혐의로 지난달 10일 구속기소됐다. 이밖에도 통일교 자금 1억4천400만원을 국민의힘 소속 의원 등에게 분할 후원한 의혹,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의 목걸이와 샤넬 가방을 전달하며 교단 청탁에 개입한 혐의 등이 적용됐다.  

 

또한 한 총재는 2022년 10월 본인의 원정 도박 의혹에 대한 경찰 수사가 본격화되자 윤영호 전 본부장에게 관련 증거인멸을 지시한 혐의도 받고 있다. 법원은 지난해 9월 23일 한 총재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으며, 이후 한 총재 측은 구속의 부당함을 주장하며 구속적부심을 신청했으나 지난달 1일 기각됐다.  

 

정치권 일부에서는 법원의 엄정한 잣대 적용을 강조하면서도, 보석 인용 여부가 재판 향방에 미치는 영향에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한편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통일교와 정치권의 유착 의혹 수사를 철저히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원은 조만간 한학자 측 보석 청구에 대한 심문기일을 열고, 구체적 건강 사유와 도주 우려, 증거 인멸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전망이다. 정치권은 대형 종교단체와 정권의 유착 가능성을 둘러싼 논란에 또다시 시선이 쏠린 가운데, 향후 재판 결과에 따라 파장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학자#통일교#보석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