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배터리 여권”…부산시, 투명한 이력 관리→산업 생태계 혁신
자동차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배터리 여권”…부산시, 투명한 이력 관리→산업 생태계 혁신

배주영 기자
입력

전기차 배터리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모든 이력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부산에서 실증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25년 블록체인 지원사업으로 전기차 배터리 여권 등 11개 혁신 과제에 총 124억원을 투입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사업에서 부산광역시는 지역 내 전기차 2천500대 및 관련 배터리 기업을 대상으로, 배터리의 제작 정보와 운행 이력, 성능, 잔존 수명 등 중요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여권처럼 안전하게 저장·관리하는 플랫폼을 시범 구축한다.

 

전기차 배터리는 제조 이후 운행, 충전, 교체, 재활용 등 복잡한 생애주기를 갖는다. 그동안 이력 관리의 한계로 인해 사용자의 신뢰 확보와 친환경 폐기 등 주요 과제에 한계가 존재했다. 블록체인의 비가역적 데이터 처리 특성은 개별 배터리의 정보를 일관성 있게 저장하며, 성능 저하 이력이나 원재료 출처, 남은 수명까지 입체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 제조사, 리사이클링 기업 등 이해관계자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기업 간 협력 및 안전·환경 정책 수립에 결정적 기여를 하게 된다.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배터리 여권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배터리 여권

과기정통부는 배터리 여권 플랫폼 외에도 가상병원, 문화 예매, 운송 탄소배출권, 식품 유통 등 다각적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은 전기차 보급 확산과 맞물려, 부산의 배터리 여권 실증이 전국적 확산과 글로벌 표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내다본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향후 기술의 범용화와 기업 생태계 확장, 미래 산업 혁신의 초석을 마련할 의지를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 여권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와 자원 순환 경제의 실현에 불가결한 인프라로, 시장의 패러다임 변혁을 이끌 새 이정표로 주목된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부산광역시#블록체인#전기차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