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재명 국정 지지율 59%로 안정세”…외교·경제에 긍정 평가, 도덕성 논란 비중 지속

박지수 기자
입력

여야가 대치하고 있는 국정 지지율 전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 수행 평가가 2주째 59%의 긍정률을 유지하며 안정 국면을 보이고 있다. 한국갤럽의 2025년 11월 둘째 주 여론조사 결과가 공개되자 정치권이 다시 한 번 정국 구도의 힘겨루기에 돌입했다. 정당별, 세대별 지지 분포와 평가 사유를 들여다보면 민심의 미묘한 균열과 집권세력에게 요구되는 숙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한국갤럽이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 긍정 평가는 59%, 부정 평가는 32%로 집계됐다. 긍정 평가는 지난주와 같고, 부정 평가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유보층은 9%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긍정 응답은 91%에 달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부정이 74%로 나타나 정파별 쏠림도 뚜렷했다. 세대별로는 40대와 50대에서 70%대의 긍정률이 나와 중추적 지지층의 존재감이 강조된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42%로 다소 약세를 보였다. 진보층 84%, 보수층 58% 부정, 중도층은 긍정 63%, 부정 28%로, 중도의 안정적 지지 역시 현 정국의 특징이다.

[국정 지지율] 이재명 대통령 직무 긍정 59%…부정 32%로 2주째 안정세(한국갤럽)
[국정 지지율] 이재명 대통령 직무 긍정 59%…부정 32%로 2주째 안정세(한국갤럽)

긍정 평가의 구체적 이유로는 ‘외교’가 30%로 최다를 기록했고, 이어 ‘경제·민생’ 14%, ‘전반적으로 잘한다’ 7%, ‘APEC 성과’ 5%, ‘직무 능력·유능함’과 ‘소통’ 각각 5% 등 다양한 응답이 나왔다. ‘관세 협상’, ‘서민 정책·복지’ 등 개별 정책 성과도 언급됐다.

 

반면, 부정 응답자들은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5%)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경제·민생’(10%),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6%), ‘대장동 사건/검찰 항소 포기 압박’(6%), ‘독재·독단’(6%) 등 부정적 시선이 잇달았다. 특히 여권이 비판해온 ‘대장동 사건’이 ‘도덕성 논란’과 더불어 새롭게 주목받으면서 갈등의 불씨로 작용하고 있다. 부정 평가 항목에서 ‘법을 마음대로 변경’,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 등 제도 운영 방식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정치권은 이 같은 지지율 구도를 두고 엇갈린 해석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이 외교, 경제 등 국정 전반에서 대통령의 능력을 인정하고 있다”고 총평하고 있는 반면, 국민의힘은 “도덕성 논란과 정권의 법치 훼손 우려가 여전히 지지율을 견인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중도와 무당층에서 보이고 있는 60%대 긍정률을 두고도 해석이 분분하다. 전문가들은 “중도층의 안정된 지지 기반은 현 정부의 국정 동력이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음을 뜻한다”며 “그러나 도덕성·사법 리스크가 여전히 구조적으로 잠재해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정국은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성과와 경제 정책이 지속적으로 긍정 평가를 받는지, 도덕성 논란이 국정운영의 리스크로 다시 부각되는지에 따라 출렁일 전망이다. 야당은 ‘재판중지법’ 등 여권의 사법 대처 행보에도 총공세를 이어갈 예정이고, 집권세력은 여론과 정책 사이 균형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정치권은 이번 국정 지지율 흐름을 토대로 연말ㆍ연초 정국 재편을 가늠하며 긴장도를 높이고 있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한국갤럽#국정지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