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요리도 건강하게”…선우용여, 당뇨 맞춤 라면 레시피 주목
당뇨 환자도 식단 변화로 면 요리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길이 제시되고 있다. 배우 선우용여가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건강라면’ 레시피가 대표적 사례로, 수프 대신 다량의 채소와 단백질을 활용한 방식이 눈길을 끈다. 기존 라면 조리과정에서 고나트륨, 고탄수화물 문제가 지적돼왔으나, 이번 사례는 국내 당뇨 식단 트렌드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다는 분석이다.
선우용여는 수프를 제외하고 북어, 파, 양파, 김치 등 각종 채소를 더해 면을 조리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그는 “소스를 넣지 않고 채소와 함께 끓이면 식사 후 혈당 변화가 크지 않고, 얼굴 붓기 등 부작용도 줄었다”고 경험을 직접 밝혔다. 전통적으로 라면은 고탄수화물 식품으로, 당뇨 환자에게 혈당 급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나, 국물을 줄이고 채소와 단백질을 늘려 영양 균형을 맞추는 것이 주목된다.

현재 의료계에서는 이와 유사한 접근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내과 전문의 김태균 윌리스요양병원 부원장은 “면은 주식이 아니라 부식으로 여기는 인식이 도움이 된다. 특히 면 섭취 시 단백질, 채소와 함께 먹으면 혈당 상승을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면 요리를 절대적 금기식으로 구분하기보다는, 채소와 단백질을 병행해 혈당 변동 폭을 줄이고 나트륨 섭취량을 관리하는 방식이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실제로 최근 IT·바이오 업계에서도 맞춤형 건강식, 유전체 기반 식단 추천 등 스마트 푸드 솔루션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식이 데이터와 의료 빅데이터를 연동한 AI 영양관리 시스템 또한 주목받으며, 건강관리 플랫폼 시장의 성장세와 맞물리고 있다. 글로벌에서는 이미 당뇨, 비만 환자를 위한 맞춤형 식품 서비스가 일상에 진입 중이다.
전문가들은 “균형 잡힌 영양소 조합과 식습관 변화가 질환 관리에 관건이 되고 있다”며 “IT·바이오 융합 기술의 진화에 따라 맞춤형 식단 선택지가 확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사례와 같은 ‘일상 속 혁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