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호관세 본격 발효”…뉴욕증시 혼조 마감,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시장 긴장
현지시각 7일, 미국(USA) 뉴욕증시가 공식적으로 상호관세가 발효된 직후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24.48포인트(0.51%) 내린 43,968.64에 거래를 마감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73.27포인트(0.35%) 오른 21,242.70을 기록했다. S&P500 지수는 소폭 하락하며 6,340.00에 장을 닫았다.
이번 증시 흐름은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한 글로벌 무역 환경 우려와, 기술주 강세라는 상반된 움직임이 공존하며 나타났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반도체 관세에 대해 “미국 내 제조 시설에 예외를 두겠다”고 밝히면서 IT 업종 주가에는 긍정적 영향이 관측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 내 제조에는 예외를 둘 수 있다”고 직접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미국(USA) 노동부가 개장 전 발표한 주간 실업청구 건수는 꾸준히 안정적인 수준을 보여 고용시장 불안 심리 완화에 기여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연방준비제도(연준) 새 이사 후보로 스티븐 미란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 금융시장에도 변화의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매파 성향 인사의 새 이사 지명 등으로 연준의 금리 정책 향방에도 시장의 시선이 쏠린다.
종목별로는 ‘애플’이 향후 4년간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밝히며 3.18% 상승, 기술주 전반에 활력을 더했다. 반면 다우지수 하락에는 ‘일라이 릴리’가 비만 치료제 임상시험 실망 여파로 14.14% 급락, 영향권에 들었다.
미국(USA) 투자업계 전문가들은 “최근 증시는 기업 호실적에 따라 강세를 보였지만 관세 정책과 무역정책 불확실성 요인이 점차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무역 이슈가 그간 무시됐던 경향이 있으며, 증시 랠리는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다”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도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및 금융정책 변화가 향후 글로벌 시장의 큰 변동성 요인임을 지적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실질적으로 미국(USA)과 주요 교역국의 무역 질서를 변화시킬지, 금리 정책을 비롯한 미국 경제 운용 전반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향후 FOMC 회의와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추가 관세 정책 발표 등을 시장 변동성의 핵심 변수로 꼽고 있다. 국제사회와 투자자들은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기조 변화와 실제 이행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