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19% 감소”…CJ ENM, 광고 침체 속에서도 매출 12.7% 증가
CJ ENM이 7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86억 원으로 집계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0% 줄어들었다. 광고 시장 침체와 미디어플랫폼 부문의 실적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다만 매출은 1조3,12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도 1,146억 원으로 집계됐다.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성과도 눈에 띈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131억 원) 대비 영업이익이 118.4% 높았다. 분기 대비로는 매출이 15.3% 늘었고, 영업이익은 3,961.1% 증가하며 당기순이익 역시 흑자 전환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미디어플랫폼 매출은 3,193억 원으로 9.5% 감소했고, 80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드라마 ‘미지의 서울’과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 생활’의 흥행에도 불구하고 광고 시장 위축 여파가 컸다. 영화 드라마 부문은 4,105억 원의 매출(42.7% 증가), 12억 원 영업손실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미국 자회사 피프스시즌의 성과로 흑자 전환이 이루어진 점도 주목된다.
음악 부문에서는 그룹 제로베이스원, 아이엔아이의 음반 판매와 공연 매출 호조로 1,972억 원의 매출(29.5% 증가)과 171억 원의 영업이익(248.7% 증가)을 기록했다. 라포네 엔터테인먼트가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커머스 분야는 3,858억 원의 매출(3.7% 증가), 214억 원의 영업이익(22% 감소)을 보였다.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은 47.1% 급증하며 앱 유입이 확산됐다.
시장에서는 광고 경기 침체가 실적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반면 해외 영상 콘텐츠, 음악부문의 성장 덕분에 전체 실적 하락 폭이 제한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OTT와 K-팝 등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의 역량이 실적을 방어한 것으로 풀이된다”며 “광고 등 전통 수익원 약화가 두드러진 만큼,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CJ ENM은 하반기 사업 경쟁력 강화를 예고했다. 미디어플랫폼 부문에서는 ‘태풍상사’, ‘폭군의 셰프’ 등 신작 공개와 OTT 플랫폼 ‘티빙’, ‘웨이브’와의 협업 확대를 추진한다. 스포츠 및 연애 예능 등 신규 콘텐츠도 추가된다. 영화·드라마 부문은 미국 및 글로벌 OTT 채널로 공급을 강화하며, 박찬욱 감독의 신작 등 기대작들이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음악사업 역시 신규 아티스트 발굴과 글로벌 K-팝 시장 확대, 경연 프로그램, 합작 프로젝트 등으로 확장에 나선다.
컨퍼런스콜에서 CJ ENM은 “음악·글로벌 영상 콘텐츠의 성장세와 OTT 협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콘텐츠 흥행 시 티빙 등 신규 가입 증가와 추가 시즌 제작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향후 투자자들은 광고 시장 회복 추세와 하반기 신작 공개, 글로벌 콘텐츠 진출의 성과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