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정상화”…행안부, 대전센터 복구율 98%로 앞서가

조현우 기자
입력

화재로 인해 중단됐던 국가 전산망 중 대전 본원의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정상화되고 있다. 14일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에서 복구가 진행된 정부 전산 시스템 693개가 모두 정상 작동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정부의 전산 인프라 대다수가 불과 16일 만에 회복된 것으로, 이번 조처는 디지털 행정 서비스의 신속성 및 안정성 강화 측면에서 주목된다. 업계는 이번 전산망 복구를 '공공 IT 인프라 위기관리'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발화 원인 조사와 병행해 행안부는 전산망 장애 발생 직후부터 긴급 복구 대책을 가동해왔다. 이번 복구 대상은 총 709개였으며, 이 중 대전센터 내 시스템 693개는 계획보다 일주일 앞서 정상화됐다. 1등급(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 40개는 전원 복구됐고, 2등급 67개, 3등급 257개, 4등급 332개 등 차등 복구율도 98%대를 기록했다.

이번 대전센터 이외 1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해 복구 중이다. 이날까지 3개가 추가로 정상화됐으며, 남은 13개 시스템 역시 연내 완료가 목표로 잡혔다. 이전 대상 시스템은 백업 및 재구축 과정에서 클라우드 기반 재설계를 추진해, 복원 속도와 안전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특히 대국민 서비스, 개인정보 보호, 전자정부 사업 등 핵심 공공업무에 미치는 영향이 컸던 만큼 정보보안 강화와 재난 대응 체계 고도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글로벌 사례에서도 주요 정부 IT 시스템 장애 후 클라우드 이전 및 분산 복구 전략이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연방조달청이나 영국 정부디지털서비스(GDS) 역시 장애 후 분산 센터 도입을 확대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복구가 단순한 재가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공공 IT 거버넌스 체계와 재해 복구 정책 전반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대전센터 복구가 공공 IT 인프라 구축 및 운영 모델에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재난대응, 분산 네트워크 운영 간 균형이 향후 신뢰받는 디지털 행정의 핵심 조건이 되고 있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대전센터#전산망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