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 국민비서 시범 가동”…정부·네이버·카카오, 공공서비스 대화 혁신

송다인 기자
입력

음성 명령 한 마디면 주민등록등본 등 전자증명서 발급은 물론, 공공시설 예약까지 AI와 대화로 처리하는 공공 서비스 혁신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네이버, 카카오와 협력해 ‘AI 에이전트(가상비서) 기반 공공 서비스 혁신’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안에 AI 국민비서 시범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업계는 이번 행보를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패러다임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부와 양사는 민간 AI 플랫폼과 연계한 ‘AI 국민비서’를 도입, 복잡한 절차 없이 국민이 네이버 앱 또는 카카오톡에서 직접 대화하며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범 서비스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공유누리 등 인기 공공 서비스를 먼저 적용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 앱에서 “주민등록증 발급”이라고 말하면, AI가 필요한 제출 기관·주소 확인 등 절차를 자연어로 유도해 안전하게 처리를 돕는다. 향후 위치 기반 추천, 생활 편의 기능도 확장될 전망이다.

카카오톡 역시 국민메신저 내에서 대화형 공공 서비스 창구로 변신한다. 특히 카카오는 유해 콘텐츠 자동 차단 AI 모델 ‘카나나 세이프가드’를 적용해, 실시간 필터링과 공정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두 회사 모두 사용자 경험의 편의성과 정보 신뢰성을 동시에 높인다는 전략이다.

 

AI 기반 공공 서비스 혁신은 단순한 자동화나 챗봇을 넘어, 행정과 생활의 경계를 허무는 이른바 ‘생애주기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로의 확장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실제로 행안부는 시범 서비스를 거쳐 향후 출생·취업·이사 등 주요 생애 이벤트 시 필요 행정 절차와 서비스 안내, 맞춤형 발급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해외에서도 서비스형 정부(GaaS) 전략 강화를 위해 AI 비서 도입이 활발하지만, 국내처럼 민간 플랫폼이 국민 대다수와 연결된 사례는 드물다. 전문가들은 공공 데이터·서비스 통합, 개인정보 보호 기준 강화와 같은 제도적 과제가 결합될 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짚는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국민이 말 한 마디로 손쉽게 공공 서비스를 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AI 국민비서가 실제로 국민 생활의 변화를 끌어낼지 주목하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네이버#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