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체를 AI 규제 프리 실증도시로”…강기정, 하정우와 정책 협력 모색
정치적 충돌 지점이 인공지능 산업 육성 전략을 두고 광주광역시와 대통령실 사이에서 부상했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12일, 서울에서 하정우 대통령실 인공지능(AI) 수석을 직접 만나 광주 전역을 ‘AI 산업 규제 프리 실증도시’로 만들자는 정책 제안을 공식화했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는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 기업 유치를 기반으로 AI 실증도시로 발전해왔다”며 “이제 도시 전체를 규제 프리 실증도시로 전환해 NPU(신경망처리장치), AI 모빌리티, 헬스케어,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유롭게 실증하고 혁신할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현행 규제의 벽을 낮춰 산업 혁신 속도를 높이고, 광주를 AI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시키겠다는 구상이다.

하정우 대통령실 인공지능 수석 역시 광주 지역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광주가 그동안 축적한 AI 산업 생태계를 높이 평가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에 관한 아쉬움에 대해서는 “전남 솔라시도가 후보지로 선정된 컴퓨팅센터 공모는 민간 영역으로, 대통령실의 개입 여지가 크지 않았다”며, “광주가 쌓아온 AI 산업 생태계는 긍정적으로 평가해 왔다. 결과적으로 지역민 실망이 큰 점에 대해 송구하다”고 전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정책 방향과 관련해 하 수석은 “이재명 대통령은 광주를 AI 산업의 중심이자 AI 선도도시로 만들어 가야 한다는 확고한 의지가 있다”고 재확인했다. 이는 비록 컴퓨팅센터 유치는 무산됐으나, 정부 차원에서 광주 AI 생태계에 대한 지속적 지원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광주시의 규제 프리 실증도시 조성 구상에 대해 여야의 공식 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광주 지역민 및 여기 기업계는 규제완화 추진에 환영의 뜻을 내비치고 있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실제 규제 완화의 범위와 실효성, 전국 균형발전 기조와의 조화 필요성을 언급하며 신중한 검토를 주문했다.
강 시장은 이어 “국회 예산심의 참여를 포함해 정부와 지속적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가겠다. 광주가 대한민국 AI 산업을 선도할 규제 프리 실증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은 앞으로 광주시 규제완화 추진이 전국 AI 산업 정책에 미칠 영향과 함께, 관련 예산심의 및 후속 지원책 논의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