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의자에 왜 앉았나”…더불어민주당, 김건희 여사 경회루 용상 착석 논란 집중 질의
대통령실과 여당, 야당이 김건희 여사의 경복궁 경회루 용상 착석 논란을 두고 맞붙었다. 국보급 문화재 관리와 대통령 부인의 행동을 둘러싼 공방이 치열해지면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장은 긴장감으로 가득 찼다.
22일 국회에서 열린 문체위 국감에서 더불어민주당은 김건희 여사가 2023년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해 공식적으로 접근이 금지된 왕의 의자, 소위 ‘용상’에 앉았다는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이를 두고 민주당 양문석 의원은 관련 사진을 언급하며 “김건희의 대한민국 국보 불법 침범 및 훼손 사건”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양문석 의원은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동행한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에게 “김건희가 왜 경회루에 갔나. 일반 민간인이 근정전 용상에는 왜 앉았느냐”며 연이어 따져 물었다. 또 “누가 앉으라고 했나. 일개 아녀자가,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이 권유했나, 본인이 알아서 앉은 건가. 분 단위로 말해서 얼마나 앉아 있었나. 자리에선 무슨 이야기를 했나”고 점차적으로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조계원 의원도 “용상이 개인 소파인가. 김건희가 슬리퍼를 신고 스스로 올라갔나. 그 자리에서 왕을 꿈꿨나 보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용석 사장은 “월대 복원 기념식과 아랍에미리트 국왕 국빈 방문 준비차 답사에 나선 것이었다”며 “국왕 내외분 동선을 점검하며 근정전을 들렀다가 경회루와 흥복전까지 방문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기획은 국가유산청이,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참석은 부속실 요청이었던 것으로 안다. 현장 설명도 이 전 위원장이 해주셨다”고 덧붙였다.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이 김 여사에게 용상에 앉으라고 권유했는지 묻는 질문에는 “권유했는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기억이 선명치 않다. (여사) 본인이 가서 앉으셨던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계속 이동 중이었으며, 앉았다면 1~2분 정도일 것”이라고 짚었다.
문체위원장이자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교흥 의원은 정 사장이 “기억이 명확하지 않다”고 답하자 “국감장이 우습게 보이느냐”며 “대답이 불충분하면 위증죄로 고발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사건의 도화선은 시사인 주진우 편집위원이 20일 공개한 사진에서 불거졌다. 김건희 여사와 이배용 전 위원장 등이 경호 인력과 함께 궁궐 내 건축물에 서 있는 모습이 포착되며, 2023년 10월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휴궁일에 이들이 경회루를 방문했다는 주장에 불을 지폈다. 논란은 최근 ‘종묘 차담회’ 의혹과 연결돼, 김 여사 측의 국가 유산 사적 이용 의혹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여야는 이날 국감에서 강하게 충돌했다. 민주당은 공과 사 구분 없는 처신을 문제 삼아 집중 질타했고, 대통령실 관계자와 동행 인사들은 통상적 준비 과정이었다고 맞섰다.
국감 현장에서는 추가 진상조사 필요성과 책임 규명 요구가 이어졌다. 야당은 용상 착석 경위와 김 여사 경복궁 경회루 방문 목적에 대한 명확한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대통령실은 공식 입장을 내지 않은 상태다. 국회 문체위는 관련 증인 추가 출석과 자료 제출을 논의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