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이중항체 플랫폼에 220억 투자”…에이비엘바이오, 릴리와 전략적 협력 확대

최영민 기자
입력

이중항체 기술을 선도하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글로벌 제약기업 릴리로부터 220억 원 규모의 전략적 지분 투자를 유치했다. 바이오 신약 플랫폼의 글로벌 도약을 기대할 만한 대형 파트너십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투자 유치를 바탕으로 이중항체 신약 후보 물질 발굴 및 그랩바디(Grabody) 등 차세대 항체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업계는 이번 투자가 기술이전 계약에 이은 제약신약 개발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 릴리가 참여한 이번 계약으로 에이비엘바이오는 보통주 17만5079주(주당 12만5900원)를 새로 발행한다. 행정절차는 미국 HSR Act(반독점개선법) 승인과 추가 절차 완료 뒤 진행된다. 신규 발행 주식은 1년간 보호예수된다. 릴리의 대규모 직접 투자는 지난해 기술이전 계약(총 3조8200억 원 규모, 계약금 588억 원)에 이은 전략적 확장이다. 이번 자금은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ADC(항체약물접합체) 및 그랩바디 신약 플랫폼의 연구개발(R&D)을 집중 지원하는 데 쓰인다.

이중항체는 두 표적에 동시 결합해 치료 효율과 타깃 정밀도를 높이는 차세대 항체 기술로, 최근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의 핵심 경쟁 영역으로 부상했다. 에이비엘바이오의 그랩바디 플랫폼은 기존 항체 대비 다중 타깃치료가 용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랩바디는 자체적 혈액뇌관문(BBB) 투과 기술 등 차별적 요소로 미국·유럽 주요 제약사의 관심을 끌고 있다.

 

시장에서는 릴리와 에이비엘바이오 협력을 통해 복수의 파이프라인 확장, 비만·근육질환 등 미충족 분야 신약 개발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글로벌 제약시장에서는 이중항체 기술을 둘러싼 빅파마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릴리, 사노피, 로슈 등 주요 기업들이 대형 M&A 및 기술이전을 통해 신약 플랫폼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양사 간 기존 그랩바디 기술이전 계약(3조8236억 원 규모)은 다양한 치료제 연구공동개발을 포함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투자금으로 신약 R&D 역량을 확장해, 향후 릴리와 실제 임상 및 상업화 단계 협력을 모색할 예정이다. 미국 HSR Act 등 주요 규제 승인 절차와 발행주식 보호예수 조건도 공시됐다.

 

업계에서는 “릴리와의 협력은 에이비엘바이오의 글로벌 임상 진입과 기술 플랫폼 경쟁력 강화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지분투자 및 기술이전 사례가 국내 이중항체·ADC 바이오 기업의 글로벌 도약 신호탄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에이비엘바이오#릴리#그랩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