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에 33조 원 추가 투자”…일본 소프트뱅크, 지분 확대로 AI 주도권 경쟁 격화
현지시각 기준 12일, 일본(Japan) 소프트뱅크그룹이 미국(USA) 인공지능(AI) 선도기업 오픈AI(OpenAI)에 225억 달러(약 33조 원) 추가 투자를 공식화했다. 이번 투자로 소프트뱅크의 오픈AI 누적 투자액은 347억 달러(약 50조8천억 원)에 이르며, 글로벌 빅테크인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치고 단일 최대주주에 올라선다. AI 기술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낙점한 소프트뱅크의 과감한 행보가 국제 IT산업 및 투자 시장에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투자 결정은 오픈AI가 최근 기업구조 개편안을 확정함에 따라 이뤄졌으며, 고토 요시미쓰 소프트뱅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중간결산 설명회에서 “우리는 오픈AI에 강한 기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9월부터 오픈AI에 지속적으로 자금을 투입해 왔다. 오픈AI의 기업가치는 이미 5천억 달러(약 733조 원)로 평가받고 있으며, 소프트뱅크가 확보하는 지분 11%의 가치는 8조 엔(약 76조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이번 대규모 투자를 통해 소프트뱅크는 미국 내 오픈AI, 오라클(Oracle)과 협력해 초대형 AI 인프라 구축 사업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등 AI 생태계 전반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 건설, 반도체 인수, 에너지 독립체계 확보 등 미래 기반 사업에도 공격적인 투자가 병행되는 모습이다.
한편, 일본 증시 및 글로벌 주식시장 분위기는 신중하다. 닛케이 등 현지 주요 언론은 소프트뱅크의 대규모 AI 투자를 ‘도박’에 비유하며, 오픈AI가 AI 분야 선두를 지속 장악한다는 보장이 불투명하다고 업계 시각을 전했다. 특히 오픈AI가 현재까지 적자 운영 상태라는 점, AI 비즈니스에서 아직 뚜렷한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우려를 나타냈다.
미국 CNN,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도 소프트뱅크의 AI 투자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일본 자본의 영향력 강화를 노리는 전략적 시도로 분석하면서도,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투자의 실질적 회수 가능성에 대해 시장이 보수적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투자 확대가 글로벌 인공지능 산업의 권력 지형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면서도, AI 사업의 불확실성과 성장 한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사회는 소프트뱅크의 공격적 투자 전략이 향후 AI 패권 경쟁에 어떤 변화를 몰고 올지 주시하고 있다.
